ICT업계 "공익적인 서비스로 대중에게 가깝게"

인공지능·LBS·IoT 등 공공 영역에 활용…신기술에 대한 거부감 줄여

2016-11-23     민보름 기자
박종환 카카오내비팀장(왼쪽과 김준기 서울특별시 안전총괄본부장이 17일 ‘카카오내비를 통한 도로함몰 정보안내 서비스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 사진=카카오

 

4차 산업혁명이 시대적 화두로 부각된 가운데 국내외 ICT(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이 공익적인 서비스로 대중에게 다가가고 있다. 인공지능을 비롯한 신기술에 대한 우려나 거부감도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는 자사 내비게이션을 통해 도로가 함몰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17일 카카오와 서울시는 관련 업무협약을 맺고 이미 실시간 정보 전송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카카오 사용자는 앞으로 도로포장이나 굴착싱크홀(도로함몰 도로 통제가 필요한 상황에서 사고 위치나 규모는 물론 교통 통제 구역과 통제 시간을 알아볼 수 있다.

 

카카오는 이런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을 피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한다. 카카오 내비에 연동된 카카오맵카카오택시카카오드라이버 등 위치반서비스(LBS) 사용자들도 같은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KT는 환경부와 협력을 통해 자동차 탄소포인트제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이 사업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KT의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활용된다.

 

그동안 정부에선 건물에서 발생하는 탄소 소비를 줄이는 탄소포인트 제도를 운영해왔다. 이제 움직이는 차에 대한 정책이 IoT 기술로 가능해졌다. KT는 자사 스마트카 서비스 이노카(Inno Car) 기능을 바탕으로 차량 주행거리 단축 여부와 연비를 클라우드에서 실시간 분석한다. 이렇게 분석된 정보는 스마트폰 앱으로 전송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환경부는 12월부터 참여자 2000명을 선착순 모집 한 후 1년간 시범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외국 기업들도 신기술의 위험을 줄이고 공익적인 사업에 적극 투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인텔은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를 얻기 위해 전문가가 모인 자문위원회(Advisory Board)를 만들고 기술 방향을 정하기로 했다. 국내에선 알파고(AlphaGo)와 이세돌 9단 간 대국 이후 인간보다 뛰어나면서 통제를 벗어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나승주 인텔 코리아 상무는 인공지능이 유발할 수 있는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위원회 자문을 지속적으로 경청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시장에 인공지능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인텔은 미국 내 가출 청소년들 위치를 찾아내는 인공지능 기술 연구도 계획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집을 떠난 상태에서 성적인 학대나 거래에 희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나 상무는 인공지능이 실제 좋은 곳에 사용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포트(MS)도 자사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보안 솔루션 SPE(Secure Productive Enterprise)를 통해 아동 성학대 동영상 확산을 방지한다. 온라인에서 1분에 500개가 넘는 아동 음란물이 유통되는데 MS 인공지능은 이를 걸러준다. MS 검색 브라우저인 빙(Bing)에서도 아동 음란물 검색은 되지 않는다.

 

MS 관계자는 본사에서 교육을 받으면서 인공지능 신기술이 단지 고객 서비스일 뿐이 아니라는 점을 알았다면서 윈도10(Window)에 적용된 기술들이 공익적인 역할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