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금융기관 리스크관리 강화한다
장기채 금리 및 미 기준금리 인상 우려…금융시장과 가계부채 관리
2016-11-13 최형균 기자
금융당국이 각 금융사에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것을 지도했다. 장기채 금리 및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따른 금융시장 관리 차원이다. 또한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방안도 고심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각 금융사가 내부 리스크관리 계획 재점검에 나서도록 지도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장기채 금리인상 속도가 빨라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비하는 차원이다.
장기채는 만기 10년 이상의 채권이다. 금융기관이 자금조달 시 중요하게 작용한다. 장기채 금리인상은 금융기관 수익성에도 영향을 준다.
글로벌 장기채 금리는 상승추세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10일 40bp(1bp=0.01%포인트) 오른 2.12%까지 올랐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2%를 넘긴 것은 올해 1월 이후 처음이다.
미국 국채금리는 가격과 반비례한다. 국채 수요가 줄어 가격이 하락하면 수익률은 오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시절 대규모 공공투자 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라 트럼플레이션(트럼프+인플레이션) 기대감이 커져 만기가 긴 국채수요가 줄고 있다. 일반적으로 장래 인플레이션이 높게 발생하면 국채 수익률도 떨어진다. 이에 국채 수요가 줄어든다.
장기채 금리상승 속도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속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OMC)가 기준금리 인상시기를 앞당길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미국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가계부채 문제 때문이다.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는 가팔라지고 있다. 10월 말 은행의 가계대출(주택금융공사 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695조7000억원이다. 이는 전월 대비 7조5000억원 늘어난 수치다. 10월 기준 가계대출 증가폭이 역대 두 번째로 크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시 국내 외국인 투자자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압박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기준금리 인상시 변동금리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으로 작용한다.
최근 금융당국은 가계부채에 대한 대비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11일 열린 ‘제2금융권 가계부채 간담회’에서 2금융권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밝혔다. 올초 1금융권에 시행한 대출 시 소득확인을 강화하는 ‘여심심사 가이드라인을 내년부터 제2금융권에 적용할 방침이다. 또한 삼호금융 이용고객이 만기가 짧은 대출을 이용하는 것에 맞춰 부분분할상환 방식도 도입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연말까지 상호금융조합, 새마을금고 등 올해 가계대출이 급증한 제2금융권을 대상으로 리스크관리 실태 특별 점검에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