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기업이 사실 안 밝히면 총수 소환"
"기업별로 의혹 달라…전수 조사로 디테일 맞춰야"
2016-11-08 한광범 기자
최순실 게이트를 수사 중인 검찰이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금을 낸 기업들에 대한 전수 조사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재벌 총수에 대한 소환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에 재계의 긴장감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 관계자는 8일 "기업들 출연금 의혹은 기업마다 다르다"며 "기금 출연 배경도 전수 조사해서 세부 내용을 맞춰봐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공언한 대로 본부 내에 부부장 검사 1명과 평검사 2명으로 구성된 전담팀에서 53개 기업 관계자들을 불러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관계자는 출연금 재벌 총수 소환 가능성에 대해선 "기업들이 사실에 부합하게 얘기하면 좋지만, 그렇지 않으면 총수들도 불러 조사할 수밖에 없다"고 기업들에 공을 넘겼다. 실무진이나 전문 경영인 등을 먼저 불러 조사해본 뒤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총수를 직접 부르겠다는 경고성 발언이다.
그러면서도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하겠다. 국민경제에 끼치는 영향도 고려해줘야 한다. 비례의 원칙이 있다"며 "쇼잉(Showing, 보여주기)은 적절치 않다"고 밝혔다.
검찰은 기업 관계자들을 상대로 대가성 여부를 파악할 예정이다. 출연금을 내며 일부 기업들이 최순실씨나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 등에게 반대급부를 요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삼성이 최씨 딸 정유라씨에 대한 특혜지원 대가로 정부로부터 경영 지원을 받으려 했다는 의혹과, 부영이 세무조사 무마 명목으로 70억~80억 원을 내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이다.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금을 53개 기업으로부터 774억원을 강제적으로 모금한 혐의로 최씨와 안 전 수석은 구속돼 조사를 받고 있다. 두 사람이 공모해 기업에게 기금 출연을 압박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기금 모금 당시 대가 관련한 말이 오갔을 경우 뇌물죄 적용이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
현재 출연금 모금과 관련해선 박근혜 대통령 개입 의혹이 점점 커지고 있다. 안 전 비서관은 검찰 조사에서 "모든 일은 박 대통령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지난해 7월 24일 청와대에서 열렸던 창조경제혁신센터장 및 지원기업 대표 간담회에 주목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간담회 종료 후 당일과 다음 날 총 7명의 재벌 총수를 독대했다. 검찰은 이 자리에서 미르·K스포츠재단 등과 관련해 박 대통령의 지원 요청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기업들은 현재 '검찰 수사 진행 중'을 이유로 이와 관련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기업들은 당초 피해자라고 주장했으나 일부 기업에서 적극 동조 움직임이 드러나며 곤란한 처지에 놓이게 됐다.
한편 검찰은 8일 진행된 삼성전자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대해 정씨에 대한 특혜지원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은 최씨 측 독일 회사에 승마협회 지원 명목 등으로 280만 유로(약 35억원)를 송금한 것이 밝혀진 바 있다. 여기에 더해 삼성이 박근혜정부로부터 사업상 지원 약속을 대가로 최씨 측에 총 2200만 유로(약 280억원)를 지원하기로 했다는 추가 의혹도 제기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