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운송료·유류비 뻥튀기' 포스코 협력업체 탈세 의혹

포스코켐텍, 40억원 과다 지급…광양제철소 하청업체 2~3곳도 비리 의혹

2016-07-05     유재철 기자

포스코 계열사의 협력업체가 하청업체에게 마진을 과다하게 제공한 뒤 다시 돌려받는 이른바 백마진을 챙겨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화학·소재업체 포스코켐텍은 지난 10년간 이 사실을 모른채 과다 청구한 비용을 해당 업체에 지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포스코켐텍은 협력업체 A사가 지난해 품질정보를 조작한 사실을 적발한 뒤 하청 계약을 끝내려 했다. A사 소유주는 경영진교체와 회사 매각을 약속하고 하청 계약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에 A사 소유주는 제3자와 매매 계약을 체결하고 잔금 입금을 기다리고 있다. 그런데 이 매매 과정에서 비용 과다청구와 백마진 비리가 드러난 것이다. 

 

A사 인수에 참여한 관계자는 “하청업체 장비사용료가 월 3300만원이었다. 경영진은 4150만원을 지급하고 750만원(부가가치세와 수수료 12% 제외)을 달마다 돌려받았다. 유류비도 달마다 수천만원씩 부풀렸다”면서 “이런 방식으로 경영진은 지난 10년간 40억원가량 챙겼다”고 밝혔다. 

 

A사는 전남 광양제철소 내 석회소공장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인 석회슬러지를 특수기법으로 가공해 분생석회를 생산하는 업체다. 분생석회는 전량 포스코켐텍에 납품한다. A사는 납품 과정에서 탱크로리 등 대형 중장비 업무를 하청업체에 위탁했다.  

제보자들에 따르면 운송을 담당한 하청업체에서 발생한 비용(유류비·장비료)이 달마다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까지 부풀려졌다. A사는 수년 간 포스코켐텍에 과다하게 책정한 비용을 정산해달라고 요구했다. 포스코켐텍은 한 달에 세 번 정산 명목으로 입금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켐텍은 이런 의혹을 모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포스코켐텍 관계자는 “A사가 품질 정보를 조작한 사실이 지난해 감사에서 드러나 경영진이 교체됐다고 알고 있다”면서 “비용을 부풀리는 비리 행위는 알지 못했다. 이 사실을 알고 인지했다면 (본사가) 가만히 있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제기된 의혹이 사실일 경우 비용과대 계상과 소득 탈루로 인한 탈세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국세청 관계자는 “백마진은 일반적으로 그 돈을 착복한 개인이나 법인이 소득세나 법인세를 탈루 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혐의가 사실이고 탈루 금액이 크면 과세대상자로 분류해 세무조사나 현지확인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의 부실감사도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지난해 7월 ‘5대 경영쇄신안’을 발표하면서 금품수수와 횡령, 성추행, 정보조작 등 4대 비윤리행위에 대해선 원스트라이크아웃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A사는 지난해 실시된 감사에서 분생석회 등 품질정보 조작만 적발됐다. 납품가격에 대해선 제대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