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아닌 채권단이 구조조정 주도해야"

임종룡 금융위원장, 정부 주도 빅딜 가능성 일축

2016-04-26     정지원 기자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중구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차 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조선, 해운 등 취약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은 채권단이 주도적으로 시행할 것이라는 원칙이 다시 한 번 강조됐다. 논란이 됐던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빅딜 여부도 채권단에게 무게가 실릴 전망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6일 금융위원회에서 열린 제3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에서 취약업종 구조조정에 관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조선·​해운 업종에 대해 정부가 빅딜을 추진할 가능성을 일축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5개 업종 중 경영상황이 계속 악화되고 있는 조선, 해운업에 구조조정 노력을 집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음은 임종룡 금융위원장과의 일문일답.

 

-기업 구조조정에 여야정 협의체를 꾸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상황에서 여야정 협의체가 득이될까.

 

경기 회생 노력을 지원하겠다는 여야의 움직임을 정부로선 환영한다. 다만 개별기업에 관해서는 여야정 협의체가 절대 관여해서는 안 된다. 성공적으로 구조조정을 하려면 여야정 협의체와 채권단 간에 분명한 역할 조정이 있어야 한다. 채권단이 구조조정을 주도적으로 추진한다는 원칙을 지키고 협의체는 구조조정 환경을 만드는 역할에 주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 등 조선업계 빅딜 가능성은.

 

빅딜추진은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현대중공업에 대해서는 이젠 채권단들이 선제적으로 나서고 최대한 기업 자체적인 개혁을 하게 될 것이다. 다만 정부도 조선산업 구조조정에 대한 큰 그림은 있다. 조선업계의 중장기적 경쟁력확보와 업계 스스로의 경쟁력 확보방안으로 업계 공동의 컨설팅을 추진하겠다. 이는 산업부가 주관하는 것은 아니고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이 용선료 협상에 성공하면 합병이 추진되는지.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의 합병에 대한 논의는 시기상조일 뿐만 아니라 적절하지도 않다. 양사의 경영정상화 방안이 가닥을 잡게 되면 해운산업의 상황, 채권회수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할 것이다. (정부가 아닌) 채권단이 중심이 될 것이다.  정부는 각각의 상황에 맞도록 무엇을 해야할 지 대비하고 있다. 지금 이 시점에서는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의 구조조정을 최선을 다해 성사시키는 게 가장 중요하다. 대비는 하고 있지만 지금은 각 기업의 채무조정을 성사시키는 데 중점이 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