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낮을 수록,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아

 

2015년 소득분위별 소비지출비중 / 자료=통계청

 

저물가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는 가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소득이 많을수록 저물가의 수혜를 크게 받는 반면 저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이후 저물가 기조가 지속되면서 지난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0.7%로 통계 집계 상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 1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0.8%, 2월 들어 1.3%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은행 물가 안정 목표치인 2.0%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지난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가장 낮았지만 저물가 현상이 가계별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고 지적했다. 그는 품목별 물가 움직임이 상이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는 소득, 가구원수, 연령 등 가계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지출비중은 소득이 적은 가구일수록 식료품∙주거∙보건∙통신에, 소득이 많은 가구일수록 교통∙오락문화∙교육에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소득이 최하위 20% 수준인 1분위 가구는 식료품, 주거, 보건, 통신 지출 비중이 높았고, 교육, 교통 지출 비중이 낮았다. 반면 최상위 20%인 5분위 가구는 교통, 오락∙문화, 교유 지출 비중이 높았고, 식료품, 주거, 보건, 통신 지출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소득분위별 물가상승률을 추정한 결과, 1분위 1.1%, 2분위 0.9%, 3분위 0.9%, 4분위 0.7%, 5분위 0.4%로 전체 물가상승률 0.7%와 차이가 뚜렷했다. 소득이 높을수록 직면하는 물가상승률은 낮게 나타났다.

 

최근 4개년 추이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1분위 계층이 직면하는 물가상승률은 5분위보다 높았다. 1분위와 5분위간 물가상승률 격차는 2014 0.0%포인트에서 지난해 0.7%포인트까지 확대된 것이다.

 

소득이 적은 가구일수록 주류∙담배와 식료품 물가 상승 영향을, 소득이 많은 가구일수록 교통 물가 하락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았다.

 

소득분위별 기여도 차이는 컸다. 주류∙담배의 물가 기여도는 1분위 0.8%포인트, 5분위 0.4%포인트, 식료품의 물가 기여도는 1분위 0.3%포인트, 5분위 0.2%포인트, 교통의 물가 기여도는 1분위 -0.6%포인트, 5분위 -1.0%포인트로 나타났다.

 

저물가에 따른 가구원수별 영향도 상이했다.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저물가 수혜를 크게 받은 반면 1인 가구의 물가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가구원수가 적은 가구일수록 식료품∙주거∙보건에, 가구원수가 많은 가구일수록 통신∙교육에 더 많이 지출했다.

 

지난해 1~2인 가구는 식료품, 주거, 보건 지출 비중이 높았다. 하지만 교육, 통신 지출 비중은 낮았다. 가구원수별 물가상승률을 추정한 결과, 1인 가구 0.9%, 2~4인가구 0.7%, 5인 이상 가구는 0.6%로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 0.7%와 차이가 있었다.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직면하는 물가상승률은 낮게 나타났다.

 

가구주 연령별 영향을 살펴보면 40대 중년 가구는 교육비 물가, 60대 이상 고령 가구는 식료품 및 주류∙담배 물가 상승 영향을 크게 받았다.

 

가구주연령 39세 이하 청년 가구는 교통∙주거∙오락문화, 40대 중년 가구는 교육, 50대 장년 가구는 음식숙박∙통신, 60대 이상 고령 가구는 식료품∙주거∙보건 지출이 컸다.

 

지난해 가구주 연령별 물가상승률은 39세 이하 및 40~49세 가구가 0.7%, 50~59세 가구가 0.6%, 60세 이상 가구는 0.8%로 집계됐다. 60세 이상 고령 가구의 물가상승률이 평균 대비 소폭 높았다. 다만 전반적으로 가구주연령별 물가상승률 간 큰 차이가 없었다.

 

백 선임연구원은 소비자들의 저물가 체감과 심리 개선을 이끌어내기 위해 소비 활성화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저물가로 인한 혜택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저소득층, 소형 가구 등의 물가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식료품 물가 안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교육비 물가에 부담을 느끼는 중년 및 다인 가구에 대해 사교육비 책정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과 시행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 연구원은 공식 물가와 체감 물가 간 차이를 잘 설명할 수 있도록 한국 가계의 소비 특성이 반영된 다양한 소비자물가지수 개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