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재교육해 고급 업무 맡겨야"

정부와 은행은 비대면 실명확인제와 인터넷전문은행 도입 등 핀테크 확산에 본격 나섰다. 그러나 핀테크로 인한 일자리 감소 대책은 없다.

 

금융위는 지난해부터 금융개혁 핵심과제로 핀테크 육성에 나섰다. 당국은 지난해 은행에 직접 가지 않아도 통장을 만들고 금융 거래할 수 있는 비대면 실명확인을 허용했다. 영상통화와 생체인증 등으로 은행 방문 없이 본인을 확인하면 된다. 비대면 실명확인 등을 적극 이용하는 인터넷전문은행도 허용해 예비인가를 냈다.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가 올해안에 사업을 시작한다.

 

금융사들도 핀테크를 속속 도입했다. 기업은행은 지난달 은행 방문 없이 비대면 실명확인 방식으로 계좌를 만들 수 있는 '헬로 i-ONE' 앱을 출시했다. 신한은행 모바일뱅크 '써니뱅크'에서도 비대면 실명확인을 통해 신용대출, 해외송금, 환전 등을 할 수 있다. 우리은행의 '위비뱅크'에서도 모바일을 통해 돈을 빌릴 수 있다. 

 

핀테크 기술은 기존 은행 직원들의 실명확인, 통장 개설 업무 등을 대신하고 있다. 핀테크 확산은 금융권의 일자리 감축에 더욱 속도를 붙일 수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014년 6월말에서 2015년 6월말까지 시중은행의 국내 지점·출장소는 4445개에서 4353개로 92개 줄었다.  

 

지난해 시중은행 희망퇴직자도 은행 수익성 악화, 임금피크제 도입 등으로 4000여명에 달했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은 961명이 특별퇴직했다. 농협은행 희망퇴직자는 346명이었다. 국민은행 1290여명, 신한은행 311명, 기업은행 188명이 희망퇴직자가 됐다. 우리은행 240명, KEB하나은행 690명이 각각 희망퇴직했다.

 

올해도 전국 시중은행 영업점(점포) 수가 100곳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인터넷뱅킹과 폰뱅킹 이용이 늘면서 은행을 찾는 고객 수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비대면 실명확인제와 핀테크 기술 확산으로 적자 점포와 손님이 줄어드는 곳 중심으로 점포를 통폐합 할 것"이라며 "이에 장기적으로 은행 직원들의 일자리도 줄어들 것이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정부와 은행은 핀테크만 강조할 뿐 일자리 감소에 대한 대책은 없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핀테크 발전에 따른 인력 감축은 어쩔수 없는 현상"이라며 "은행이 스스로 인력을 재교육해 고급 서비스를 맡기는 쪽으로 가야한다. 이는 당국이 관여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이에 윤석헌 숭실대 금융학부 교수는 "금융당국과 은행권은 핀테크 발전에 따라 인력을 내치는 게 아니라 그 인력을 교육해 리스크 관리 등 고급 서비스 인력으로 탈바꿈해야 할 것"이라며 "당국은 핀테크 기술에만 치우치지 말고 금융 본연의 역할인 자금 융통과 부가가치 생산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는 "핀테크는 인력 감축과 개인 정보 침해 등 단점도 있다"며 "금융권은 보안관련 투자와 인력을 강화해 핀테크로 인한 인력 감소와 개인정보 침해 등에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