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 143% '사상최고'

 

올해 우리나라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9월말 기준)이 143%로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가계부채는 1년 만에 10.4% 늘었지만 가처분소득은 4.3% 늘어나는데 그쳤기 때문이다. 소득 가운데 41%(2분기 기준)는 부채 상환에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2일 국회에 제출한 '2015년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9월말 기준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가계신용 통계 기준) 비율은 143.0%로 올 3월말(138%)에 비해 5.0%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 2003~2014년간 연평균 상승폭인 2.4%포인트보다 2배 가량 빠르게 늘어난 셈이다.

 

가계부채는 9월말 기준 1166조원으로 지난해 9월보다 10.4% 늘었다. 금액 기준으로는 전분기 대비 35조원 증가해 지난 2002년 통계 집계 이후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폭으로 늘어났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와 저금리 기조 속에서 주택담보대출 등이 급증한 탓이다. 반면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4.3%에 그쳐 빚이 늘어나는 속도에 크게 못미쳤다.

 

국가간 비교가 가능한 자금순환 통계를 기준으로 한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64.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3개 회원국 평균치(130.5%)보다 33.7%포인트 높았다. 글로벌 금융위기인 2008년 말에 비해서는 19.9%포인트 상승해 OECD 회원국 평균 상승률(1.6%포인트)을 크게 웃돌았다.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상환 지출 비율은 지난 2분기 기준 41.4%로 전분기(35.4%)보다 6%포인트 상승했다. 소득 100만원 중 41만원은 빚 상환에 썼다는 의미다. 이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가계의 사업 소득이 줄어든 반면 주택담보대출 등이 늘면서 대출원금 상환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가계의 소비지출은 감소할 수 밖에 없었다. 가계소득 대비 소비, 세금 등 가계지출 비율은 3분기 76.9%로 전년 동기 대비 0.9%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소득 분위별로 1분위(하위 20%)의 가계소득 대비 가계지출 비율이 전년 동기 대비 6.1%포인트 떨어진 104%로 나타나 가장 큰 하락 폭을 보였다.

 

한은은 "주택거래 활성화와 전세시장 구조 변화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크게 확대됐으나 가계소득 개선은 상대적으로 미약해 재무건전성이 전반적으로 저하됐다"며 "이런 상황에서 급격한 금리상승 등 충격이 발생할 경우 영세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부실가구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