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통화당국, 국내 인상폭과 시기 조절해야 파장 적어

자넷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이 연설을 하고 있다. / 사진=뉴스1

 

미국이 9년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 부동산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한국도 인상 압력을 받게 된다. 이렇게 되면 1200조 원에 육박하는 사상 최대 규모의 가계부채가 문제가 될 수 있다.

또 금리가 인상되면 수요자들이 대출을 피하게 돼 주택거래가 줄어 집값이 하락하게 된다. 건설사 유동성 악화 가능성도 우려된다.

14일 미국 언론·은행 등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15~1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현행 0.00~0.25% 기준금리를 0.25~0.50%로 0.25%p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부동산 투자심리 위축은 거의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 과정에서 우리 통화당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금리가 인상되면 역대 최대치까지 늘어난 가계부채가 문제가 될 수 있다. 국내 가계부채는 올해 말이면 12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금리가 인상되면 불어나는 이자 탓에 하우스푸어가 더 늘어날 수 있다.

주택거래 역시 경색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리가 인상되면 수요자들이 이자 부담에 대출을 꺼리고 이에 따라 주택 거래도 대폭 줄어들 수 있다. 실제 2억 원의 주택담보대출 대출금리가 1%만 높아지더라도 연간 200만 원, 10년이면 2000만 원의 이자를 더 내야하니 가볍게 볼 수 없다.

건설사들의 해외 프로젝트 수주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금리인상은 예측되지 않은 리스크는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리스크 헷지는 이루어졌다고 보면 된다"면서도 "신흥국 자본 유출로 발주국의 경제적 펀더멘탈이 달라진다면, 발주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취소돼 국내 건설사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재 1.5%포인트 차이가 나고 있다. 여유가 충분한 편이다. 달러 유출을 우려해 섣불리 따라 움직였다간 가계부채 뇌관을 건들여 주택시장이 큰 치명타를 입을 수 있는 만큼, 한국은행이 신중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김성훈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미국 금리 인상으로 전이될 수 있는 불안을 줄이려면 미국의 금리 인상에 우리나라 통화 당국이 즉각적으로 동조화하기보다 한미 간 금리차이를 염두에 두고 인상 폭과 시점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경은 기자 rke@sisabiz.com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