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주 조선해양플랜트협회 부회장

서영주 조선해양플랜트협회 부회장이 18일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의실에서 열린 ‘한국 조선·해양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 = 박성의 기자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적자가 누적되며 최악의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조선해양산업을 구제하기 위해서는 플랜트설계 전문 인력 양성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국내 대학 조선관련 학과가 40여 개에 불과하고 전문 교수진도 적어 정부가 해외교수영입 및 전문가양성프로그램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다.

18일 이진복 새누리당 의원실은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의실에서 ‘한국 조선·해양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서영주 조선해양플랜트협회 부회장은 해양플랜트 부실문제가 불거진 주요 이유로 국내 ‘토종 플랜트 엔지니어’ 고갈을 말했다.

서 부회장은 “해양플랜트 부문의 노하우가 없었던 결과 조선업계가 비싼 수업료를 지불하고 있다”며 “근본적인 원인은 국내에 해양플랜트 전문가가 극히 소수라는 것”이라 밝혔다.

그는 “가장 중요한 것은 학계에서 조선해양 학과 양성에 적극 나서주는 거다. 현재 관련 학과가 40여 개에 불과한 상태”라며 “산학 협력이 활발해 지기 위해서는 관련 석박사 과정이 신설돼야 한다. 회사만 나서서 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조선사들이 해양플랜트 강사를 초빙하는 등 회사차원에서 방법을 강구할 수 없냐는 질문에는 “강사 초빙료가 비싸다”고 선을 그었다.

서 부회장은 “관련 전문가를 국내로 초대해 강의하는 데 드는 비용이 회당 억대를 호가한다”며 “회사차원에서도 노력해야 하지만 국회가 관련 지원예산을 전향적으로 편성하는 노력도 수반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마지막으로 해양플랜트가 ‘돈 먹는 하마’가 됐지만 포기할 수 없는 분야라고 말했다. 회사는 상선에 집중된 역량을 플랜트 부문으로 나누고, 정부는 인내심을 가지고 관련 정책을 펴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서 부회장은 “조선업계가 지금 당장 힘들다고 플랜트를 포기한다는 것은 미래를 버리는 것과 같다”며 “해양플랜트란 분야는 하나의 건설업이다. 인내심을 가지고 조선과는 다른 정책과 전략을 펴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