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구조 개선 없이 회생 어렵다” 평가도

29일 대우조선은 악화된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1조8500억원 규모의 긴축 경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 사진 = 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이 임금, 인력, 자산에 걸친 대규모 긴축 경영에 착수한다. 금융 당국과 채권단이 4조2000억원 규모의 지원을 결정하며 여론이 악화되자 자구책을 앞당겨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대우조선이 자구책을 통해 현금을 마련해도 수익구조 개선 없이는 회생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1조8500억원 규모의 긴축 경영에 돌입한다.

대우조선이 자산 매각 등 자구책을 마련하리라는 것은 예고됐다. 하지만 같은 날 산업은행이 4조2000억원 지원을 발표하자 국민 여론이 급격히 악화됐다. 사측 역시 이를 감지하고 행동을 앞당긴 것으로 풀이된다.

대우조선이 마련한 자구책은 ▲부동산 등 비핵심 자산 매각을 통한 7500억원 확보 ▲향후 3년간 인적 쇄신 ▲직접경비 및 자재비 절감 ▲공정 준수를 통한 지연배상금 축소 등이다. 대우조선은 자구책으로 1조1000억원을 확보할 것으로 추산한다.

대대적인 인력 구조조정도 단행할 예정이다. 대우조선은 이미 2분기 어닝쇼크 이후 지난 8월부터 본사 임원을 55명에서 42명으로 30% 줄였고 임원은 기본급의 10∼20%를 반납 했다.

이달 말까지 희망퇴직과 권고사직 등을 통해 부장급 이상 고직급자 1300명 중 300명을 감축하는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부실경영 공범으로 지목받던 본사와 자회사 고문은 모두 해촉했다.

조직은 통합하거나 축소한다. 8월 이후 대우조선은 개편을 통해 조직의 30%를 축소했다. 또 시행 중인 임금피크제는 내년 1월부터 연차별 임금 감소폭을 더 늘릴 예정이다.

고재호 전 사장 등 대우조선 전 경영진에 대해서는 채권단이 부실경영 책임, 예산관리 부실 등을 근거로 검찰에 고발할 예정이다. 법적 책임이 명백할 시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도 제기할 방침이다.

적자 주범으로 지목돼 온 해양플랜트 분야도 대대적인 수술에 들어간다. 공정 중인 해양플랜트 인도를 위한 인력은 유지하되, 내년 이후에는 직영 및 사내 외주 인력을 축소할 예정이다. 이후 해양플랜트 비중을 50% 수준에서 40%대로 축소한다는 방침이다.

자산 매각작업은 지난달부터 이미 진행 중이다. 대우조선은 ▲청계천 본사 사옥 1600억원 ▲당산동 사옥 400억원 ▲골프장(써니포인트컨트리클럼) 1800억원 등을 팔아 유동성을 확보한다. 보유 주식 등 현금성 자산은 200여억원이다.

이 밖에 마곡산업단지 내 연구개발센터 용지 대금으로 낸 2000억원을 다시 회수한다. 대우조선은 서울시와 협상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외 비주력 자회사 역시 모두 정리한다. FLC 지분 445억원은 11월 안에 매각할 예정이다. DMHI(루마니아) 역시 매각 또는 청산을 검토 중이다. DSSC(중국)는 지분(51%) 매각을 고려하고 있다. 드윈드(미국)는 풍력 핵심 기술만 본사로 매각하고 유럽법인은 청산한다.

채권단은 실사 과정에서 현장직 인력 감축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 노조는 구조조정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배수진을 친터라 당분간 현장직 인력 감축은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대우조선이 팔 수 있는 건 모두 내놓고 있다. 자구책으로 추가로 내놓을 것이라곤 현장직 인력감축 밖에 없지만 이 역시 어렵다“며 ”조선업계가 모두 불황인 가운데 4조원이라는 거액을 쏟아 붓는다고 해서 대우조선이 살아날 지는 의문“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