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등 봉쇄에 국내기업 직간접 타격···물류 악화로 국내 산업 악영향
“中정책, 국익 배치 방향으로 흐를 가능성”···정부, 기업 지원 방안 논의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중국이 상하이 등 주요 도시들을 봉쇄하면서 현지에 진출한 우리기업들도 타격을 받고 있다. 비용 증가와 시간 지연 등으로 생산 차질이 빚어져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것이란 우려와 함께 향후 중국 당국이 취할 조치가 우리 국익과 상충되는 방향으로 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단 조언이 나온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이 코로나 상황 악화로 경제 수도로 꼽히는 상하이까지 봉쇄하면서 경기 위축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당국은 올해 성장률 목표치를 5.5%로 잡았으나 달성이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상하이를 비롯한 각 도시 봉쇄가 이어지면 연간 성장률이 4.2%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4.8%였다.  

세계 경제규모 2위인 중국 경제가 위축되면 글로벌 경제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줄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은행은 최근 중국 리스크를 이유로 올해 동아시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5.4%에서 5.0%로 낮췄다. 

우리 경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봉쇄조치가 내려진 지역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은 직간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중국 상하이에는 현대엘리베이터, 아모레퍼시픽, 오리온, 농심, SPC 등이 생산공장을 갖고 있다. 상하이 주변 전자부품 생산 공장지역에는 LG전자,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SK이노베이션 등이 진출해 있다. 

오리온 관계자는 “중국 정부 정책에 따라 공장 가동을 전면적으로 멈췄다가 지난 13일부터 부분 재개해 절반 수준으로 가동하고 있다”며 “전면 중단 기간엔 기존 재고량과 상하이 이외 공장 네 곳에서 부족한 물량을 수급해 대처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확진자가 일정 기간 나오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가동 재개하는 곳이 나오고 있어 점차 상황이 좋아질 것이란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 이미지=정승아 디자이너
/ 이미지=정승아 디자이너

김희영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상하이는 중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우리나라 입장에서도 의존도가 높은 곳인데 이번 봉쇄조치로 물류쪽을 중심으로 타격을 받고 있다”며 “최근엔 상하이 주변 쿤산, 태창시도 봉쇄가 들어가면서 이곳에서 많이 제조하는 IT, 전자제품 공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수급이 어려워지고 있다. 생산이나 물류 차질이 계속되면 인플레이션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상하이항을 통한 컨테이너 수출이 차질을 빚으면서 우리나라 산업에 영향을 줄 것이란 관측이다. 또 중국 내 트럭운전수들이 코로나에 확진되며 물류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단 분석이다. 비용 증가와 시간 지연 등으로 생산에 차질을 줄 수 있단 지적이다. 

코로나 봉쇄 사태가 상하이 주변 경제벨트인 장각 삼각주로 확대될지 주목해야 한단 분석이 나온다. 문지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장강 삼각주는 중국 제조업이나 우리나라가 수입하는 부품, 소재, 장비 부분에 있어 파급 효과가 큰 지역”이라며 “아직 이 지역에 대한 적극적 봉쇄 조치는 나오지 않고 있지만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지원 대책에 나섰다. 지난달 말 산업부 1차관 주재 회의에서 상하이 봉쇄 관련 업종별 협회, 단체들과 논의를 진행했고, 코트라는 이달부터 화물보관서비스 등 물류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여러 채널을 통해 중국 관련 상황을 점검하고 있고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개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며 “향후 상황이 단기에 끝날지 길어질지 판단은 어렵지만 대책 마련은 장기적으로 갈 상황까지 감안해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향후 중국이 자국 경제 안정을 위해 취할 조치들이 우리나라 국익과 상충되는 방향으로 진행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단 조언이 나온다.

문 부연구위원은 “중국이 원자재, 에너지원 확보에 있어 글로벌 공급망의 경쟁 심화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데 우리는 경제 안전을 확보할 방안으로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 전략적 자원 확보 부분을 고민해야 한다”며 “중국이 공급망 안정을 위해 추진하는 중소기업 육성정책, 과학기술 혁신정책으로 글로벌 경쟁이 심화했을 때 우리 기업이 어떻게 우위를 확보하고 시장경쟁력을 구축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수 산업연구원 해외산업실장은 “이번 사태로 물동량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봉쇄 사태에 더해 미중갈등 상황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이 큰 문제”라며 “우리가 첨단 제품을 중국에서 생산하기 어려워지기에 공급망 재편이 필요하다. 공장을 동남아 등 다른나라로 옮기는 식보단 중국에서 생산하는 제품 수준을 낮춰야 할 것이다. 첨단제품을 중국에서 생산하면 미국과 마찰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현 상황이 단기적으로 풀릴 것 같지는 않다. 중국 내에서 제로코로나 정책을 쉽게 풀진 않을 분위기이다”라며 “지금 주민 불만이 커지면서 상하이가 봉쇄 완화 조치를 했는데 봉쇄를 했다 푼 다른 지역을 보면 완화 이후에도 다들 몸을 사리고 있고 중국 전체적으로 많이 긴장하는 상태이다. 빠른 시일 내 정상화되기 쉽진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