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등배당' 아닌 배당성향 상승은 추가 증자 가능성 키워
대규모 증자로 부진한 주가···추가 하락은 주주 피해↑
노조 "일은 직원이 했는데 이익은 기재부가 가져가나"

기업은행 서울 본사 전경 / 사진=기업은행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기획재정부가 IBK기업은행의 배당을 더 늘릴 움직임을 보이면서 주주와 기업은행 조직원 모두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주주 입장에선 배당 이후 추가 유상증자가 가능성이 커지는 점이 문제다. 부진한 주가가 증자로 더 하락하면 주주들의 피해가 오히려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은행 내부에서도 지난해 최대 실적에도 불구하고 성과급도 제대로 못받았는데 기재부가 배당으로 이익을 많이 챙겨가면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재부는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 기업은행, 한국산업은행, 한국주택금융공사 등 출자기관에 올해 배당계획 제출을 지시하며 작년보다 배당성향을 높일 것을 요구했다. 배당성향은 한 해 거둔 당기순이익 가운데 배당금으로 책정되는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기재부가 세수 확대를 이유로 2021년부터 국책은행을 비롯한 출자기관의 배당성향을 올려달라고 요구했다”라며 “지난 2020년에는 전체 출자기관 배당성향이 36.9%였는데 2021년 회계년도에는 40%로 올리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당을 늘리면 주주들에게 이익이지만, 문제는 ‘차등배당’이 아닌 기재부가 재원 확보를 위해 일괄 상향을 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8년부터 2년 연속으로 일반 주주에게 배당을 더 많이 하는 차등배당을 실시한 바 있다. 기업은행의 자본비율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보니 손실흡수력 확보와 주주환원을 함께 챙기기 위해 고안한 정책이다. 차등배당 덕분에 기업은행 주주들은 지난 2019년 배당성향 28.17%의 고배당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차등 배당이 아닌 전체 배당성향을 올리면 유상증자로 자본확충을 할 가능성이 있다. 당기순익에서 배당으로 빠져나가는 금액이 많아질수록 은행의 자기자본 규모는 그만큼 줄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기업은행의 BIS비율 지표 중 하나인 보통주자본비율은 지난해 9월 말 11.52%로 6대 은행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다. 코로나 사태 속에서 BIS비율이 하락하는 것은 기업은행 입장에서 부담이다. 
    
실제로 기업은행은 지난해 3월 2020년 결산배당을 한 후 한 달도 채 안 돼 490억원의 유상증자를 해 주주들의 불만을 산 바 있다. 당시 기업은행은 ‘내로남불’ 논란을 무릎쓰고 배당성향을 다른 금융지주, 은행보다 높은 24.28%로 정했다. 하지만 자본확충을 이유로 신주를 발행하면서 오히려 주가 하락을 불러왔다. 발행 주식수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기준가 대비 5% 할인된 가격으로 발행돼 주주들의 피해가 커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특히 최근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하라고 대손충당금을 늘릴 것을 강하게 요구한 점은 더 부담이다. 대손충당금이 늘어나면 당기순익이 감소한다. 여기에 배당성향 마저 올리면 자본비율은 더 하락해 추가 증자 필요성도 더 커지게 된다. 

기업은행 주가는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대규모 유상증자를 한 탓에 부진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했다. 기업은행은 지난 2020년에만 1조2600억원 규모의 신주를 발행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다. 그 결과 기업은행의 주가는 코로나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금리 상승기에도 불구하고 1만원 내외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다른 금융지주는 대부분 코로나 이전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자료=한국거래소 / 그래픽=정승아 디자이너

기업은행 직원들의 불만도 우려된다. 기업은행 행원들은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거뒀지만 국책은행이라는 이유로 1%남짓의 급여인상률과 낮은 성과급을 받았다. 성과급 300%를 받은 시중은행과 대조적이다. 이에 기업은행 블라인드에는 ‘업무는 시중은행과 비슷한데 성과급은 왜 낮냐’는 식의 직원들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직원 임금 인상에는 인색하면서 기재부가 배당마저 많이 가져가면 논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기업은행 노조 관계자는 “배당성향을 작년 수준만 유지해도 당기순익이 증가해 총 배당액은 늘어날 것“이라며 ”그런데도 기재부가 배당성향도 높인다면 ‘일은 직원이 했는데 이익은 기재부가 가져간다’라는 불만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기재부와 배당총액을 먼저 결정하면 차등배당을 하지 않아도 자본비율 하락을 최소화하면서 배당을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