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현대차 등 완성차·부품·IT·전자 관련사업 中매출 큰폭 감소
LG에너지솔루션 매출은 3배 급증···석유화학·조선·철강 등도 매출확대

/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시사저널e=김도현 기자] 중국시장 공략으로 매출규모를 키워 온 국내 대기업의 현지법인 매출액이 최근 4년 새 3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 당국의 경제규제와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등의 여파가 원인으로 꼽힌다.

16일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기업 중 중국 내 생산법인이 있는 113개사 320개 법인을 대상으로 2016년 이후 매출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 법인의 총 작년 매출액은 103조9825억원이었다. 이는 2016년 143조3916억 대비 27.5% 감소한 수치다.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부품업계 매출감소가 가장 컸다. 이들의 작년 매출은 22조3104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59.2% 감소했다. 현대차그룹 2개 법인 매출 감소폭이 65%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IT·전자 부문 59개 법인도 18.6% 감소한 51조653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LG전자 등이 중국 내 스마트폰 사업 철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삼성전자 중국법인의 경우 개별법인 중 가장 매출 감소폭이 컸다.

매출이 증가한 분야도 있었다. 석유화학, 조선·기계·설비, 철강, 제약, 식음료 등 5개 업종은 실적상승과 수요상승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생산확대로 2016년 2조4167억원에서 지난해 5조7538억원으로 급증했으며, SK종합화학·삼성SDI·SK하이닉스·포스코 등도 최근 4년 새 매출을 1조원 이상 끌어올렸다.

실익이 개선된 업종도 있지만 제조업 분야에서의 매출감소가 도드라짐에 따라 과거와 같이 중국시장이 기회의 땅이란 평가도 반감될 전망이다. 현지의 규제강화와 인건비상승 등이 도드라짐에 따라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의 생산라인 이전도 가속화되는 단계다. 소비시장으로서의 매력은 잔존하지만, 생산성 측면에서는 중국보다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가 각광받고 있다.

 

/표=CEO스코어
/표=CEO스코어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