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산학 협력 체계 마련 및 관련법 정비 필요
현장 자율성 확대, 애자일 방법론 도입 강조

15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국가미래교육 전환&한국판 뉴딜 신성장산업육성을 위한 에듀테크 세미나'가 개최됐다. / 사진 = 김용수 기자
15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국가미래교육 전환&한국판 뉴딜 신성장산업육성을 위한 에듀테크 세미나'가 개최됐다. / 사진 = 김용수 기자

“코로나19로 기회를 맞이한 에듀테크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려면 추진주체가 명확하고 지속적이어야 한다.”

15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국가미래교육 전환&한국판 뉴딜 신성장산업육성을 위한 에듀테크 세미나’에 발제자로 나선 황대준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는 에듀테크 산업 육성 전략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황 교수는 “앞으로 교육 목표를 재정비하고 교육혁신 패러다임을 데이터 기반으로 하는 기술 전환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디지털 뉴딜 정책이 정말 성공하려면 반드시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민관산학이 협력할 수 있는 위원회가 마련돼야 하고 관련 법률의 정비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세미나는 국회 신성장포럼이 주최,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가 주관했다. 포럼 공동대표인 김진표,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의원, 황대준 성균관대 교수, 노규성 한국생산성본부 회장, 임재환 유비온 대표, 이길호 에듀테크산업협회 회장, 조은순 한국교육공학회 회장 등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과장급 실무진 등이 참석했다

‘디지털 뉴딜과 K-에듀테크 육성 방안’을 주제로 발제에 나선 노규성 한국생산성본부 회장은 민관의 협력과 바우처를 통한 공공 부문에서의 민간시장 활성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노 회장은 “공교육 시장에서 플랫폼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민간 콘텐츠 서비스가 만들어질 수 있어야 한다”며 “이와 동시에 기존에 공공 부문에서 무상으로 서비스되던 방식에서 바우처를 통한 유상 서비스 방식으로 변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민간 시장이 창출돼야 궁극적으로 산업 성장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공교육과 관련된 데이터가 이미 많이 구축돼 있다”며 “정말 보호해야 할 데이터를 제외하고 민간에 오픈해야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현장 자율성을 확대 목소리도 나왔다. 임재환 유비온 대표는 “에듀테크 산업 발전은 미래교육체계 전환 조기화와 새로운 교육 격차 해소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다만 그린 스마트 스쿨의 경우 조금 더 광범위한 예산이 투입돼야 하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면서도 “에듀테크는 그럴 필요가 없다. 에듀테크 관련 국가 전략은 정밀하게 마련하기보다는 학교와 교사들을 믿고 예산을 투여하면 이들이 미래교육 체계 전환을 이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후 진행된 패널 토의에서는 ‘애자일 방법론’을 교육혁신 과정에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시스템을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 중요했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얼마나 빠르게 전환하는가가 중요한 경쟁력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김은주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지털혁신기술단장은 “앞으로의 디지털 교육혁신은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이기 때문에 어떤 것이 정답일지 누구도 알지 못한다”며 “큰 그림을 얼마나 정교하게 그려서 끌고 나갈 것인가가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애자일 방법론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가 만들어야 하는 거버넌스 체계는 변화를 촉진하고 혁신을 지속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정교하게 그리는 것이 자칫 잘못하면 규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에듀테크 산업 육성의 방향성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속도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이길호 에듀테크산업협회 회장은 “에듀테크 육성을 위한 방향에 대해선 믿어 의심치 않지만 속도에 대해선 우려가 있다”며 “한 부처가 앞서나가기보다는 협력체계가 구축돼 전체가 같이 가야 한다. 협력 시스템이 불안정하면 전체적인 속도도 느려질 수 있다. 여러 부처나 민간이 협력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진표 의원은 개회사에서 “에듀테크 분야에서 다소 뒤처지고 있다는 평을 받았지만 이번 한국판 뉴딜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만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온라인을 통한 교육이 더 이상 부수적인 것이 아닌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최근 발의된 이러닝 산업 촉진에 관한 법안이 조속히 통과돼 산업이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