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화석연료 96%였던 덴마크···2017년 29%로 감축·신재생에너지 70%
“덴마크·한국, 완벽한 파트너 될 수 있다”···“100만개 일자리 창출 가능해”
‘아시아 허브’ 자리 차지 여부 관건···“풍력·바이오가스 등 노하우 공유·협력할 것”

문재인 정부는 출범 초부터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힘을 쏟아왔다. 특히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높아지면서 탈원전 정책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고, 태양광, 풍력, 바이오가스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위한 로드맵도 차근차근 마련되는 모습이다.

오는 13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하는 회의에서 이른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이 발표될 예정이다. 해당 계획에서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서는 ▲친환경 경제·산업구조 전환 ▲‘2050년 탄소제로’ ▲신재생에너지 확산 기반 구축 등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비판하는 목소리 또한 여전하다. 이들은 신재생에너지가 경제·효율성 측면에서 원전, 화력 등 에너지를 대체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고, 이에 대한 찬반 논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덴마크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례는 많은 점을 시사한다. 신재생에너지 부문 최고의 선진국으로 꼽히는 덴마크는 지난 약 25년 동안 96%(1995년 기준)에 이르던 화석연료 에너지를 29%(2017년 기준)로 줄이고, 이를 풍력,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등 신재생에너지(약 70%)로 대체했다.

또한 오는 2050년에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국가 비전하에 신재생에너지 관련 투자·개발 등에 집중하며 ‘퍼스트 무버’(first-mover)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아이너 옌센(Einar Hebogard Jensen) 주한덴마크대사는 시사저널e와의 인터뷰에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효율성, 공급안정성에 대한 걱정은 덜어도 될 것 같다”면서, 한국이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빠르게 뛰어들어 해당 분야의 ‘아시아 허브’(hub) 역할을 선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신재생에너지 전환·발전을 통해 일자리 창출 등 긍정적 효과도 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한국은 국제적으로 굉장한 ‘패스트 무버’(fast-mover)로 알려져 있는 만큼 (화석연료의 대부분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데) 약 10년 정도 밖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덴마크는 한국의 완벽한 기술적 파트너가 될 수 있다”면서, 해상 풍력, 바이오가스 등은 물론 수소에너지 부분에서도 협력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하는 아이너 옌센 대사와의 일문일답.

 

덴마크는 풍력발전, 바이오가스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다. 신재생에너지 관련 덴마크의 강점은 무엇인가

25년 전만 하더라도 (덴마크의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약 5% 밖에 되지 않았고, 대부분인 96%가 모두 화석연료였다. 하지만 이후 2005년에는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25%로 늘어났고, 2017년에는 약 70% 이상이 됐다. 70% 중 풍력은 약 50%, 바이오매스·바이오가스 등은 약 2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덴마크의 강점이라고 볼 수 있는 점은 풍력,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등에 기술적 측면(technical)의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이오가스 같은 경우 약 160개의 발전소가 있고, 한국이 약 100개 정도의 발전소를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덴마크가 한국의 완벽한 기술적인 파트너가 될 수 있다.

덴마크 정부는 최근에 1990년대 이산화탄소량 대비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량을 70% 감축하기로 뜻을 모았고,. 현재 40%를 감축하는 데에는 성공했다. 흥미로운 점은 국회에서 감축량을 늘이는 것에 대해 한 정당을 빼고는 모든 정당이 다 동의를 했다는 것이다. (새로운 분야의) 선두에 서서 개척하면 일자리 창출과 수출로 이어지는 것을 모두가 알고 있기 때문이다.

덴마크는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100%가 된다고 해도 멈추지 않을 것이다. 국회에서는 최근 2개의 ‘에너지섬’을 설립하는데 뜻을 모았고, ‘에너지섬’에는 해상 풍력 단지들이 설치가 돼 있어 국내 수요 이상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약 770만 가구에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덴마크의 인구수는 500만 정도밖에 되지 않는 만큼 여분의 전력을 수소로 전환해 비행기, 트럭 등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최근 한국이 스위스에 수소트럭을 수출했다는 뉴스를 봤고, 수소에너지 부분에 있어 덴마크와 한국이 협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덴마크와 유럽에서는 재생에너지가 훨씬 더 싸다. 그래서 (유럽 내에서는) 더 이상 석탄 발전소에 투자를 하지 않는다. 유럽은 2050년까지 450GW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를 갖고 있는데, 한국에 12GW 발전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생각하면 유럽에서는 얼마나 더 영향이 클지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세계적으로 계속 커지고 있는 이런 상황에서) 덴마크와 같은 ‘퍼스트 무버’들이 그 이익의 한 몫을 단단히 보게 될 것이다.

/자료제공=주한덴마크대사관
/자료제공=주한덴마크대사관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당시 저항은 없었나

1973년 ‘오일쇼크’(oil-shock)로 덴마크는 큰 어려움을 겪었다. (덴마크) 국회 쪽에 석유개발에 대한 노력이 있기도 했지만,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모두가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에 합의를 했다. 때문에 저항이 크지 않았다.

덴마크의 경우 오히려 원전에 대한 반발이 컸고,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어쩌면 자연스럽게 신재생에너지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국민들도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심하게 반발하지 않았고, 현재 신재생에너지가 70%에 이른다는 사실을 굉장히 자랑스러워하고 있다.

 

한국 일각에서의 신재생에너지가 원자력, 화력 등 에너지의 경제성, 효율성 등을 대체할 수 없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덴마크는 70%를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데 성공했고, 몇 년 후면 100%를 앞두고 있다. (에너지의) 효율성, 공급 안정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 정전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이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경우 정전이 많아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하지만 실제로 EU(유럽연합)에서 덴마크가 독일, 네덜란드와 함께 정전이 가장 적게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효율성, 공급 안정성 등에 대한 걱정은 조금 덜어도 될 것 같다.

덴마크는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5%에서 70%대로 올리는 데 25년이 걸렸다. 하지만 한국은 국제적으로 굉장히 ‘패스트 무버’로 잘 알려져 있다. 그래서 결코 25년까지 걸리지 않을 것이고, 25년의 절반 정도의 시간 혹은 약 10년 정도 밖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패스트 무버’가 되기 위해 빠르게 움직인다면 원전, 석탄 등에 의존도와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 한국이 평소처럼 빠르게 행동한다면 아시아의 재생에너지 허브가 돼 주변 국가에 솔루션을 수출할 수 있을 것이고, 일자리 또한 약 100만개정도 만들어 질수 있을 것이다. 요즘 같이 일자리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시기에는 더욱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아이너 옌센 주한덴마크대사는 덴마크와 한국이 신재생에너지 관련 완벽한 기술적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사진=강수지 PD
아이너 옌센 주한덴마크대사는 덴마크와 한국이 신재생에너지 관련 완벽한 기술적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사진=강수지 PD

덴마크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통해 경제·사회적인 측면에서도 성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덴마크가 신재생에너지의 퍼스트 무버였기 때문에  많은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고, 이를 통해 이익을 많이 얻고 있다. 예를 들어 세계 최대 풍력 발전 제조업체인 ‘베스타스’는 덴마크 업체로 선도 이익을 굉장히 많이 봤고, 바이오가스 같은 경우도 전세계적으로 수출이 가능한 정도의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해상 풍력 1GW당 1만4600개 정도의 일자리가 창출된다고 보고가 되고 있다. 해상 풍력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같은 경우에서도 사업이 커질수록 일자리가 많이 창출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현재 덴마크의 민간 부문 일자리의 경우 6%가 에너지 분야와 관련이 있고, 덴마크 전체 수출의 약 11%~13%가 에너지 분야와 관련이 있다.

한국의 경우 해상 풍력을 12GW 정도 개발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12GW에 따른 일자리 창출과 향후 전국적 확대로 인한 수많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한국의 탈원전,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나

한국은 해상 풍력 12GW 개발, 바이오가스 플랜트 100개 설립, 태양광 등 다양한 좋은 정책·아이디어들이 많다. 한국은 석탄발전소와 원전을 개발하는데 두각을 보여준 바 있다. 이제는 다른 쪽(신재생에너지)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줘야 할 때다. 그러기 위한 계획은 잘 수립 되었으니 빠른 시행만이 남았다. 그렇게 한다면 완전히 새로운 산업을 탄생시키고,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분야의 일자리들을 창출할 것이다. 또한 그 숫자는 아주 높을 것이다.

(현재 아시아에서는) 누가 먼저 그 (퍼스트 무버) 자리를 차지해 이익을 볼 지가 관건이다. 만약 한국이 다른 에너지 분야에 몰두하는 동안 일본이나 홍콩, 중국 등이 먼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뛰어든다면 한국은 손해를 볼 것이고, 한국에 더 많이 생길 수 있었던 일자리들이 다른 나라에 넘어갈 것이다.

/자료제공=주한덴마크대사관
/자료제공=주한덴마크대사관

한국이 재생에너지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덴마크의 노하우 등을 공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현재 한국 정부나 기업 등과 추진하고 있는 것들이 있나

덴마크는 한국과 협력 관계를 굳건히 하고자 한다. 실제로 양국은 10년 가까이 녹색성장동맹을 이어오고 있고, 녹색 분야 협력 증진이 주요 관심사 중 하나다. 덴마크는 한국과의 솔루션 공유와 공동 파일럿 프로그램 운영에 관심이 많고, 덴마크 에너지청과 한국에너지공단은 활발히 협력하고 있다.

덴마크는 이 부분에 대해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가스의 경우 축산 폐업물을 다른 폐기물과 섞어서 바이오가스를 추출하고, 그 과정에서 농부들이 쓸 수 있는 비료를 생산하기까지 이런 여러 가지 과정과 생산 과정에서 노하우를 갖고 있다. (덴마크는) 여러 가지 기술적인 솔루션과 경험을 갖고 있고, 한국과 이를 공유하고 협력하는데 굉장히 관심이 많다.

 

최근 한국에서 귀농을 포함한 농·축산업 분야에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바이오가스 등 기술은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개인의 농축산업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이익을 볼 수 있다. 도시 지역에서 나오는 다양한 폐기물이나 도축장 등에서 나오는 산업 폐기물 또한 다 바이오가스 추출에 활용될 수 있고, 그 부산물은 또 비료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분야가 바이오가스로 혜택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덴마크에서도 이를 계속 개발하고 있다.

아이너 옌센 주한덴마크대사는 내년으로 연기된 P4G 정상회의에 앞서 덴마크와 한국이 바이오가스, 해상 풍력 등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해 협력의 기반을 다지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사진=강수지 PD
아이너 옌센 주한덴마크대사는 내년으로 연기된 P4G 정상회의에 앞서 덴마크와 한국이 바이오가스, 해상 풍력 등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해 협력의 기반을 다지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사진=강수지 PD

한국의 이른바 ‘그린 뉴딜’ 정책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고, 향후 덴마크 정부와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1주일 전쯤에 ‘그린뉴딜’에 대한 설명회를 다녀왔다. 굉장히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고, 좋은 아이디어도 많았다. ‘그린뉴딜’이 크게 3가지 분야로 나뉘어 발표가 됐는데 예산이 1조4000억원 정도라고 한다. 오히려 투자를 늘리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보다 많은 투자를 통해 더 많은 일자리가 나오고, 환경오염은 더욱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여러 가지 방면으로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로 바이오가스의 경우 이미 한국에 덴마크 바이오가스 연합(alliance)이 있어 여러 지자체와 이미 협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앞서 말했던 12GW 해상 풍력 에너지 개발을 위해 덴마크의 대형 개발업체들이 이미 한국에 들어와 있다. 바이오가스 등도 마찬가지 상황이라 덴마크와 협력한다면 굉장히 빠른 속도로 개발, 진전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이 굉장히 많은 잠재력과 기회를 지녔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한국에는 이미 풍력 타워 제조업체 ‘CS윈드’가 이미 타워 제조를 하고 있고, 해상 풍력발전단지 지지기반(foundation) 부품을 제조할 수 있는 조선소들도 있다. 거기에 (한국이 지닌) 최고의 발전기(generator) 기술만 더해진다면 한국은 단시간 내 아시아의 해상 발전소 제조의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제2차 P4G(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정상회의가 아쉽게 내년으로 연기됐다. 향후 회의에서 어떤 협력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나

P4G는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2018년 코펜하겐에서 첫 정상회의가 열렸는데 한국이 두 번째 P4G 정상회의를 개최하게 돼 자랑스럽다. 양국 모두 ‘녹색성장’에 관심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내년 P4G를 앞두고 바이오가스, 해상 풍력 등의 기술관련 파일럿 프로젝트들이 진행되면 좋을 것 같다. 협력의 기반을 다지고 한국에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좋은 시점인 것 같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