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반포4지구 이달 말부터 이주 시작
반포1·2·4주구에 반포3주구까지 향후 1년 내 이주 계획 6500세대 이주 목표
신규 입주는 반포센트럴자이 780여 세대가 전부···멸실 대비 공급물량 10% 수준 불과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사평대로 일대에 아파트 단지들이 늘어서 있다. / 사진=연합뉴스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사평대로 일대에 아파트 단지들이 늘어서 있다. / 사진=연합뉴스

지난 수년 간 1군 건설사의 재건축 시공권 수주 경쟁으로 달아오른 서울 반포의 전세시장이 갈수록 불안정해지고 있다. 재건축을 위해 이주하고 있거나 앞으로 예정인 단지가 늘어난 영향이다. 특히 지금부터 내년 5월까지 1년 간 공급물량이 멸실을 앞둬 주택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세대의 10% 수준에 불과한 상황이 닥칠 수 있다. 인근 방배동의 이주 예정 물량까지 더해지면 서초구 전반의 전세시장에 적잖은 타격이 우려된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4지구는 오는 25일부터 10월 말까지 5개월 간 재건축을 위한 이주를 시작한다. 신반포4지구 재건축 사업은 한신8·9·10·11·17차 아파트와 녹원한신아파트, 베니하우스빌라 등 노후한 7개 아파트와 상가 2곳을 묶어 신축 아파트를 짓는 사업으로, 이주해야 할 세대는 총 2898세대에 이른다.

또 관리처분계획 무효 판결로 지난해 9월에서 한차례 이주시기가 미뤄진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 조합은 최근 내달 21일 조합장 해임총회를 열고 내년 상반기에 이주하는 일정을 잡았다. 대우건설과 삼성물산의 빅매치로 최근 세간의 이목이 집중된 반포주공1단지 3주구 또한 입찰에 참여한 한 시공사가 내년 상반기 이주를 공약으로 제시한 상태다.

이들 이주가 계획대로 이루어진다면 반포에서만 지금부터 향후 1년 간 임시거주를 위한 6500세대의 대이동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같은 기간 공급물량은 멸실 예정물량에 비해 터무니없이 부족하다. 이달부터 입주를 시작한 반포센트럴자이 781세대가 전부이기 때문이다. 멸실을 앞둬 주택기능을 상실하는 6500여 세대에 견주어보면 12%에 불과하다. 게다가 인근 방배13구역 1550가구와 방배14구역 316가구 등 방배동 일대 약 2000가구도 올해 이내에 이주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은 반포를 넘어 서초구 일대의 전세시장 혼란을 부추길 수 있다.

전세매물이 나오기 힘든 환경이라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1주택자가 양도소득세 비과세를 적용받거나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기위해선 2년 이상 실거주하는 게 의무화된 영향이다. 이 같은 까닭에 집주인들이 전세를 주지 않고 직접 입주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점도 이주 예정세대들의 임시거처 구하기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보유세 인상과 대출 규제 등 정부 규제와 코로나19 장기화로 주택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전세 수요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도 수급 불안정으로 혼란스러운 전세시장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될 수 있다. 구반포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내년 5월까지 반포에서 입주 가능한 신축물량은 반포센트럴자이 한 곳이 전부다. 학군수요가 많은 반포 특성상 가까운 곳에 임시거처를 마련할 텐데 갈수록 전세물량이 씨가 마른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서울시에서는 주택 수급 불안정에 따른 주택시장 불안정을 우려해 수년 전부터 재건축 이주 및 철거시기를 수개월 선에서 조정하고 있다. 강동구 둔촌주공, 강남구 개포주공, 서초구 방배동 재건축 일부 구역 등이 이로 인해 이주시기가 늦어지기도 했다. 때문에 반포 재건축 단지 일대에서는 이주시기가 늦어질라 타 단지를 견제하는 등 눈치싸움 벌이기도 한다. B조합 관계자는 “이주 지연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당초 계획된 일정대로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 인근 사업장과 이주시기가 겹치지않도록 하기위해 타 사업장 이주 일정을 살피는 것도 예삿일”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