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 생애금융보고서 발표···1000명 대상 조사
한 달 평균 생활비 251만7000원···“200만원, 그냥 사는 정도”

/자료=하나금융그룹
/자료=하나금융그룹

국내 50~60대 퇴직자들의 절반 이상이 퇴직 후 창업이나 재취업을 통해 경제생활을 이어가는 것으로 확인됐다.

11일 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가 발표한 ‘생애금융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과 5대 광역시에 거주 중인 50∼64세 퇴직자 중 37.2%는 재취업을 선택했으며 17.9%는 자영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지난해 11~12월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소득 크레바스(Income Crevasse)에 놓인 퇴직자들의 경제활동 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했다. 소득 크레바스는 직장에서 퇴직한 후 국민연금을 받을 때까지 소득이 없는 기간을 뜻한다. 조사는 50~64세 퇴직자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신뢰 수준은 95%, 오차 범위는 ±3.1%다.

응답자의 소득 크레바스 기간은 ‘11~15년’이 35.3%로 가장 많았으며 ‘16~20년’과 ‘6~10년’이 20.8%, 20.2%로 뒤를 이었다. 평균 기간은 12.5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62.8%는 소득 공백을 의식해 생활비를 퇴직 전보다 28.7% 줄였다고 밝혔다.

퇴직자들의 한 달 평균 생활비는 251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퇴직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생활비(월 400~500만원)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보고서의 한 응답자는 “정부에서 혼자 사는데 170만원이 든다고 하는데 둘이 그렇게 산다면 200만원으로는 그냥 사는 정도”라며 “400~500만원 정도면 ‘그래도 이제 구경도 다니고 그렇지 않겠나’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퇴직자의 절반 이상은 경제생황이 중단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자의 7.2%는 경제생활을 못하면 당장 이번 달부터 생활비가 모자라도 답했으며 9.7%는 종종 생활비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36.4%는 일을 그만두면 1년 이내에 생활비가 부족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퇴직자의 58.3%는 퇴직금을 모두 인출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9.1%도 일부 인출해서 사용했다고 응답했다. 퇴직금을 거의 인출하지 않은 퇴직자의 비율은 22.6%에 불과했다. 퇴직금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은 ‘생활비 보충 또는 연금보험 가입’(26.5%)이며 자녀지원(15.6%)과 대출상환(12.2%)이 뒤를 이었다.

조용준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장은 “퇴직 이후 전문적인 자산관리가 더 절실해진다”며 “노후자금 관리부터 자녀결혼, 부동산 활용, 간병·상속 대비까지 여러 이슈에 차례로 마주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하나금융그룹은 손님에게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안할 플랫폼을 구축하는 한편 100년 행복연구센터 설립으로 관련 연구를 전개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