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돕자는 취지”···대형마트·백화점 등 대기업 오프라인 채널 사용 불가
대형마트·백화점 입점 소상공인은 혜택 못 받지만 이커머스는 가능해 논란도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 정리. / 자료=행정안전부, 연합뉴스, 표=김은실 디자이너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 정리. / 자료=행정안전부, 연합뉴스, 표=김은실 디자이너

# 긴급재난지원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사용처에 대한 문의는 물론, 구매 가능한 물품에 대한 질문도 온라인상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다만 초점이 소상공인·자영업자 등으로 맞춰지면서 사용처가 한정됐다.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자 이아무개(36)씨는 “사용처를 알아봤지만 자주 사용하던 곳은 모두 제외돼 결국 편의점에서 사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오는 11일부터 지급하는 긴급재난지원금에 대한 문의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가 난립해서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자영업자를 돕기 위해 지원금을 백화점·대형마트·온라인쇼핑몰 등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했다. 이에 사용처로 지정된 편의점을 찾는 이들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긴급재난지원금은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선 사용할 수 없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돕기 위한 취지에서다. 긴급재난지원금은 신용·체크카드 충전,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선불카드로 지급받는 세 가지 방식 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 지원 방식 가운데 가장 신청이 쏠릴 것으로 예상되는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충전 역시 사용처 제한이 동일하다.

사용처가 제한되면서 ‘지역화폐’가 주목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편의점에서 지역화폐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지역화폐로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제로페이’가 있다. 이에 편의점 업체들은 각 브랜드별로 프로모션을 제공하며 고객 모시기에 한창이다.

실제 앞서 서울시가 지난달 1일부터 지원하고 있는 재난긴급생활비는 지역화폐로만 사용 가능해 간편 결제 방식인 제로페이 사용이 급증했다. 제로페이 결제가 가능한 편의점이 가장 큰 수혜를 입으면서 지난 4월 한 달 편의점업계의 제로페이 이용률은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했다.

편의점업계에 따르면 BGF리테일의 편의점 CU는 지난달 제로페이 이용액이 전년 동기 대비 6배 급증했다. 같은 기간 GS리테일의 GS25와 코리아세븐의 세븐일레븐 역시 전월 대비 각각 5배, 3배 늘었다.

지역화폐가 급성장한 배경에는 지자체가 지역화폐 구입 시 할인 혜택을 부여한 데 있다. 특히 서울시는 지역화폐인 서울사랑상품권 10만원권을 15% 할인해 8만5000원에 판매했다. 즉 8만5000원으로 10만원 어치의 상품 구입이 가능한 것이다. 이 같은 소식에 지역화폐에 대한 관심을 늘었고,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선 ‘현금주고 물건 사면 손해’라는 이야기도 나왔다.

직장인 김아무개씨(46)는 “사용처가 제한된 곳이 많아 사용할 곳이 마땅치 않다”면서 “요즘 대부분의 생필품을 편의점에서 구매 가능해 편의점에 자주 찾아 정부 지원금을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전 국민에게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결정된 만큼 지역화폐 사용 빈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본다”면서 “이번 지역화폐 활성화로 편의점 가맹점주들이 큰 도움을 받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형마트·백화점에 입점한 소상공인은 혜택 못 받는다

다만 소비진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유로 대형 오프라인 업체를 제외한 것에 대해 아쉽다는 의견도 있다. 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된 대형마트나 백화점에 입점해 있는 소상공인들은 정작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오프라인 유통채널 매출은 올해 2월 7.5% 하락세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하락폭이 2배 이상 확대됐다. 유형별로는 오프라인의 경우 SSM(준대형 슈퍼마켓·5.5%)을 제외한 백화점(-40.3%), 대형마트(-13.8%), 편의점(-2.7%) 매출이 모두 하락했다. 

여기에 서울시가 지급하는 재난긴급생활비가 쿠팡, 티몬 등 이커머스업체에서 결제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형평성 논란은 여전한 상황이다. 이커머스는 코로나 사태로 특수를 누린 바 있어 오히려 정부가 이커머스에 힘을 실어주는 셈이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다만 서울시는 쿠팡, 지마켓 등 온라인 쇼핑몰이나 배달앱에서 온라인 거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단 온라인 쇼핑몰 결제 가맹점의 주소가 서울이 아니거나 제한업종으로 동록된 경우에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한편, 서울시는 사용처를 두고 수차례 혼란을 겪어왔다. 기존 NC백화점, AK백화점은 사용 가능한 곳으로 분류됐지만 최근 불가능한 곳으로 바뀌었고 대형마트인 코스트코 및 중소형 마켓 킴스클럽과 노브랜드도 불가능으로 바뀌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