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 의존 낮추고 온라인 유통·교육 투자 확대
K방역·K바이오 활성화, 대기업과 중소기업 협력 강화 등 밝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6일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기업 위기 대응반 1차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6일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기업 위기 대응반 1차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비대면산업을 키우고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는 등 코로나19 이후의 대응 전략을 6일 제시했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위기 대응반’ 1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전략을 밝혔다.

산업부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로 ▲바이러스와 전쟁 본격화 ▲비대면 활동 증가 ▲실업 증가와 저유가 기조 장기화 ▲저비용 효율중심주의 기업경영 퇴조 ▲개인과 효율보다 연대, 공정, 책임 부각 ▲신자유주의 퇴조 가속화 등을 꼽았다.

이에 대응해 정부는 8가지 산업 전략을 밝혔다. 우선 정부는 보건환경 분야에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해 유턴 활성화, 핵심품목 관리, 밸류체인 핵심기업 유치 등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를 통해 투명하고 안전한 첨단제품 생산기지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감염병 발생 시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는 작업방식을 확산하겠다고 했다. 그 방법으로 생산라인 재배치, ‘로봇+인간’ 작업방식 설계, 산업별·기업별 방식 표준화 등을 제시했다. 또 K-방역, K-바이오를 세계적으로 상품화하겠다며 글로벌 백신 생산의 중심으로 도약하겠다고 했다.

산업부는 경제활동 분야 전략으로 비대면산업 육성과 에너지전환을 제시했다. 정부는 5세대 이동통신(5G), 디지털 인프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온라인 유통·교육 등 비대면 산업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또 저유가에 대응해 에너지 소비 효율 향상, 재생에너지, 수소경제 등 에너지 신산업 확산을 통해 산업구조 혁신과 에너지 전환에 나서기로 했다. 철강·석유화학·정유 등 주력 산업의 화석연료 의존도를 점진적으로 축소한다. 정부는 철강의 경우 수소환원 제철, 석유화학은 고부가 화학 소재, 정유는 바이오 연료 등을 제시했다.

정부는 기업 활력과 투자를 높이겠다며 계획된 투자 프로젝트가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현장의 투자 애로를 직접 점검하고 주력산업의 사업재편을 촉진하기로 했다.

자동차·철강 등 주력 산업은 사업을 재편하고 신산업 분야로 진출을 활성화한다는 목표다. 자동차의 경우 수소 연료전지 핵심부품 제조, 철강은 컬러강판 등 고부가 강판 등을 제시했다.

코로나19 이후 사회 가치로는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 협력, 다른 업종 간 동맹 등을 통해 업종·기업 간 한국형 산업 연대와 상생협력 모범사례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또 정부는 방역 모범국이자 제조강국의 위상을 활용해 보호무역 타파와 자유로운 인적·물적 교류를 주창하며 글로벌 논의를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기업 필수인력 예외 입국 표준모델 선도, 무역·투자에 관한 추가적 장벽 설정 중단 등을 양자·다자협의체를 통해 제안하기로 했다.

정부는 상반기 중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 비대면 산업 육성, K-방역·K-바이오의 글로벌 진출, 산업·통상 글로벌 리더십 발휘를 위한 정책 등을 준비하기로 했다. 이후 종합 전략인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을 하반기에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