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규제지역 풍선효과 갈수록 더 커져···실수요자 피해로 전가 우려도

노경은 금융투자부 기자
노경은 금융투자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경기가 위축됐다지만 부동산 시장, 그중에서도 비규제지역은 예외다. 올 들어 비규제지역에서 청약한 대다수 사업장들은 수많은 인파가 몰리며 당해마감이라는 성적을 일구어냈다. 그러자 입지가 좋지 않아 미분양이 났던 사업장에까지 수요층이 몰리며 연이어 분양마감을 달성하고 있다. 특히 미분양 사업장의 분양권은 주로 다주택자들이 손을 뻗어 먹는 먹잇감이 되기도 한다. 올해 말까지는 매도시 주택으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이다.

분양시장만의 분위기가 아니다. 청주, 천안, 원주 등의 지역엔 소위 말하는 세력이 들어가며 구축 아파트 시세도 상당히 올랐다. 이들 지역에서 세입자가 이미 계약이 돼있는 형태의 집을, 보증금을 제한 금액만 추가로 내고 사들이는 형태의 갭투자를 통해 매입해 꽤나 재미를 봤다는 사람들의 성투 후기도 온라인상에서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지난해 12월 천안의 미분양 아파트 두 채를 사들이고 정확히 2개월 뒤인 2월에 매도하며 7000만 원을 벌어들였다는 후기를 쓴 한 자칭 투자자(?)는 “지방투자는 강남(잠원동) 보유세를 벌러 간 것이었다. 요새는 지방 투자가 더 재미를 본다”고 말했다. 실거주 목적이 아닌데 투자가 아닌 투기로 보는 게 맞지 않냐는 기자의 질문에 “법에 어긋나는 거래가 아닌 정상거랜데 왜 부정적 어감이 담긴 투기라고 하느냐”고 반문했다. 지역을 조사하고 될 것 같은 곳에 자금을 넣고 매수 매도시 성실납세를 하기 때문에 투자가 맞다는 것이다.

극단적 사례같지만 이 같은 생각으로 지방 원정투자를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정부가 각종 규제로 서울 부동산 시장을 묶어 돈이 돌지 않게 하자 불똥이 지방으로 튀는 것이다. 이들 지역에 십 수 년 살아온 지역민들로선 그 어떤 호재도 없는데 갑자기 집값이 뛰니 어리둥절할 뿐이다. 또 주택구입을 검토하던 이들은 갑자기 올라버린 집값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며 조바심을 내고 있다.

이처럼 그동안 정부당국의 주택시장 모니터링 눈길이 서울 및 수도권에 쏠려있던 사이 비규제지역의 주택시장은 어지럽혀지고 있다. 실물 경기 상황이 워낙 좋지 않아서 아파트 시장 상황만 계속 상승 추세를 보일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다. 시세차익만 노리는 과도한 투자세력 때문에 실제 로컬이 피해보는 사례도 우려된다. 결국 누군가의 피해는 불가피해 보인다. 전국 활동범위로 삼고 두더지식으로 출몰하는 자칭 투자세력들로 매매가격 거품에 우는 실수요자가 없도록 해야 한다. 정부의 꼼꼼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