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여야소 정국’ 속 국회 내 막강 권력 손에 쥐게 돼
‘당권파’ 김태년·‘친문파’ 전해철·‘비주류’ 정성호 등 출사표
약 38% ‘초선의원 표심’ 향방 관심도···예측하기 어려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후보인 전해철(왼쪽부터), 김태년, 정성호 의원이 지난달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제21대 국회의원 당선자(초선) 워크숍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후보인 전해철(왼쪽부터), 김태년, 정성호 의원이 지난달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제21대 국회의원 당선자(초선) 워크숍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4·15총선에서 180석을 확보하며 ‘슈퍼여당’을 탄생시킨 더불어민주당의 원내대표 선거가 복잡한 셈법 속에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신임 민주당 원내대표의 경우 ‘거여야소’(巨與野小) 정국에서 국회 내 막강한 권력을 손에 쥐게 되고, 당정 관계에서도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만큼 선거결과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분위기다.

이번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인사는 김태년(성남 수정구, 4선) 후보, 전해철(안산 상록구갑, 3선) 후보, 정성호(양주, 4선) 후보 등이다. 일단 이들은 모두 지역구를 경기도에 두고 있다.

세 후보들에 대해 민주당 내부에서는 ‘김태년-당권파’, ‘전해철-친문파’, ‘정성호-비주류’ 등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물론 이들은 당내 계파를 분류하는 것 자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치고 있지만, 지금까지 원내대표 선거가 당내 세력 간 역학관계 속에서 승패가 갈려 왔던 만큼 무시할 수 없는 선거의 핵심 변수다.

예를 들어 결선투표에서 비주류의 표가 어느 쪽으로 이동할지, 혹은 주류파의 표가 비주류로 향하게 될지 여부가 선거의 향방을 가르게 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김 후보는 지난 2004년 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승리하며 국회에 입성한 인물이다. 그는 20대 국회에서 이른바 ‘추미애 대표 체제’, ‘이해찬 대표 체제’ 등에서 민주당 정책위의장을 연임하는 등 당 지도부의 두터운 신임을 받으며 대표적 ‘당권파’로 꼽히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당초 이번 선거 출마를 저울질 하던 ‘이해찬계’ 윤호중 의원과 단일화를 하게 된 것도 이와 같은 배경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김 후보는 문재인 정부 출범 초기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을 정도로 문재인 대통령과도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도 알려졌다.

김 후보가 “정책위의장으로 당의 국정 과제를 설계했고 초기 이행을 책임 있게 주도했다”며 “이제 문재인정부 4년차, 국정과제 이해도가 가장 높고 국정 어젠다(Agenda)의 우선순위와 전체적인 밑그림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제가 원내대표가 된다면 내실 있는 성과로 귀결시킬 수 있지 않겠냐”고 출사표를 던진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전 후보의 경우 지난 대선 과정에서 주목받았던 이른바 ‘3철 인사’(전해철, 양정철, 이호철 등)로 문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로 분류된다.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민정비서관(2004년)·민정수석(2006년) 등을 맡았고, 이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의 인연 등으로 문 대통령과 각별한 관계를 맺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전 후보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 선거 민주당 경선에서 이재명 현 경기도지사와 권리당원 투표에서 2.52%포인트 차이밖에 보이지 않는 등 당내 친문 세력의 독보적인 지지를 확인한 바 있다.

또한 그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정무위원회 간사, 민주당 경기도당 위원장, 민주당 최고위원, 국정원 국정조사특위 위원, 국정원 개혁특위 위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민조사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기도 했다.

전 후보는 “(총선 승리는) 문재인 정부와 여당에 신뢰를 두고 안정 의석으로 책임감을 주신 것”이라며 “21대 국회 초대 원내대표에 나서 당정청과의 국정과제 조율은 물론이과 야당과 협상력을 발휘해 속도감 있는 위기대응력을 보여주겠다”고 밝혔다.

정 후보는 이번 선거에서 유일한 ‘무(無)계파’ 후보로 꼽히는 인물로, 지난 정치행보에서도 특정 계파와의 연결고리는 없어 보인다. 다만 정치권에서는 그가 지난 대선과 경기도지사 선거 등의 민주당 경선 등에서 이재명 지사 측과 교감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각에서는 정 후보를 ‘친이재명계’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계파 자체가 불분명해 당내 ‘비주류’로 인식하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정 후보 스스로도 출마 회견에서 ”합리적 실용주의자 원내대표가 필요하다”며 “건강한 당풍을 해치는 줄 세우기도 없어져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국회에서 국토교통위원회 간사,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대리,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특히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 당시 팽팽한 여야의 신경전 속 원만한 회의 진행으로 인상을 남긴 바 있다.

이와 같이 세 후보들의 ‘주요 세력’이 나뉜 상황에서 ‘초선 의원 표심’도 선거의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민주당의 초선 의원 수는 68명으로 민주당 의석 180석 중 약 38%에 이르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난 총선 민주당 공천과정에서 대부분의 초선 당선자들은 ‘당권파’, ‘친문파’ 등의 혼재된 추천‧교감 등을 받았던 만큼 이들이 어떤 후보를 지지할지에 대한 예상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