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및 통신3사 지원 대리점에 집중

서울 시내 한 지하철역 인근 휴대폰 대리점의 모습 /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지하철역 인근 휴대폰 대리점의 모습 /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휴대폰 단말기 유통점에 2476억원을 지원하기로 발표했다. 하지만 영세 휴대폰 유통가 대부분은 지원 여부조차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신3사와 직접적인 계약 관계가 아닌 휴대폰 판매점의 경우 지원에서 소외된 상태다.

9일 단말기유통협회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업계 전체 매출이 30~50%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정부는 지난 1일 SK텔레콤·LG유플러스·KT 등 통신 3사와 협의를 거쳐 방송·통신 분야 소상공인에게 4200억원 규모의 긴급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 중 휴대폰 유통점에 지원하기로 한 금액은 2476억원이다.

정부는 전국 휴대폰 유통점 2만6000여곳(종사자 6만여명)을 대상으로 임대료 및 운영자금(1370억원), 단말기 외상구입 이자상환 유예(1106억원)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하지만 골목상권에 위치한 휴대폰 유통가 대부분은 정부 지원 대책을 인지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수원에서 휴대폰 판매점을 운영하는 40대 김아무개씨는 “자급제 폰 시행 이후 매출이 많이 떨어졌는데 코로나 사태까지 겹치면서 매출이 30~40%가량 급감했다”면서 “정부 지원은 전혀 받은 게 없고 지원책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특히 대리점이 아닌 판매점들의 경우 지원액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단말기 외상구입 이자상환유예는 지원이 불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주로 인건비나 임대료 등 고정비용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서울 관악구의 한 휴대폰 판매점 관계자는 “휴대폰 판매점은 서울보증협회에서 보증서를 끊고 대리점에서 기기를 공급받기 때문에 단말기 외상구입 이자상환유예는 의미가 없다”면서 “월세나 직원 월급 등 현금성 지원이 가장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휴대폰 판매점은 정부 및 통신 3사의 월세 지원에서 소외된 상태다. 앞서 2월 말 KT는 전국 2500여개 자사 대리점을 대상으로 월세 최대 50% 지원과 방역물품 제공 등을 약속했다. LG유플러스도 지난달 1일 전국 2000여개 대리점을 대상으로 인건비, 월세 등 운영자금 34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관계자는 “휴대폰 판매점의 경우 통신사들과 직접적인 계약관계에 놓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원을 받기 어렵다”면서 “이번 금액 지원 등에서도 해당되지 않는 곳이 많아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은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 이통통신사 관계자는 “이번 지원책 홍보 및 판매점 지원의 경우 휴대폰 유통가 지원 주관인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 하에 방안이 마련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판매점을 대상으로 한 임대료나 인건비 등 추가 지원에 대해선 검토된 바 없다”라고 잘라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