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안 내놨지만 아직 명확한 기준 없는 실정···업계 “세부 기준 마련 뒷받침돼야”

지난달 28일 영업 중단에 들어간 CGV 명동점의 모습. /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28일 영업 중단에 들어간 CGV 명동점의 모습. /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영화계의 어려움을 반영해 영화발전 부과금 한시감면 등 지원책을 내놓았지만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극장업계는 정부 지원 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도 세부 기준 마련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요청했다.

아울러 정부가 금융권과 협의를 통해 기업 대출 상환 만기일 연장 등 금융지원도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극장가 위기가 구조적 문제가 아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일시적 관객 감소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2일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3월 관객 수는 183만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467만명)에 비해 약 8분의 1 수준이다. 올해 3월까지 국내 극장가 누적 매출액도 약 2211억원으로 전년 동기(4577억원) 대비 절반에도 못 미쳤다.

무엇보다 영화관 관객 급감은 곧 영화산업 전체의 수익 감소로 이어진다. 영화업계에 따르면 한국 영화산업 전체 수익 중 8할이 영화관에서 발생한다. 영화 산업 구조에서 티켓 매출이 핵심인 셈이다. 현재 국내 멀티플렉스 극장 82곳이 경영 악화에 따른 상영관 유지 어려움 등을 이유로 임시 영업 중지 상태다.

이에 정부는 지난 1일 영화계에 대한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지원 방안은 ▲영화발전기금 부과금(티켓 가격의 3%에 해당)을 2월분부터 한시 감면 ▲상반기 개봉 연기·취소작 20여편 마케팅 지원 ▲단기 실업 상태에 놓인 현장 영화인 직무 재교육 실시 및 직업 훈련 수단 지원(400명) 등이다. 아울러 코로나19 상황 진정 시 영화관람 활성화를 위해 영화관람객 할인권(100만장)을 제공하고 홍보캠페인도 지원한다.

하지만 영화발전 부과금 한시감면 기간과 비율, 상반기 개봉 연기작 마케팅 지원 대상 기준 등 세부 기준은 아직 마련돼 있지 않은 상태다. 한 멀티플렉스 관계자는 “당장 2월분에 한해서 적용하는 영화발전 부과금 감면도 언제까지 이어질지 알 수 없다”라면서 “이외에도 아직 지원 안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나오지 않아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화체육부 관계자는 “개봉 연기작 지원은 공모 선정 형태로 진행될 예정이고, 여타 지원 안 기준은 현재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다”고 설명했다.

올 1분기 개봉작들이 연달아 연기되면서 멀티플렉스 3사는 각종 기획전을 여는 등 자구책을 내놓고 있다. 과거 흥행작들을 재상영하거나 기존 멀티플렉스 관에서 보기 어려웠던 독립·예술영화를 상영하는 방식이다. 다른 멀티플렉스 관계자는 “신작 개봉이 늦춰지거나 취소돼 새로운 콘텐츠가 없어 당분간은 영화 재개봉 등 기획전 형태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상반기 개봉이 연기되거나 취소된 작품은 75편(한국 영화 27편)에 달한다.

멀티플렉스 3사는 직원 감축 등 인력 구조개편에 들어간 상황이다. 현재 CGV는 10년 이상 근무한 직원에 대한 희망퇴직을 실시하고 희망 임직원을 대상으로 무급 휴직도 시행하고 있다. 롯데시네마는 임원들이 임금 20%를 반납했으며 희망 직원들에 한해 무급 휴가를 사용토록 했다. 메가박스도 주 4일 체제로 임직원 절반이 근무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유급 휴직 중이다.

또 다른 멀티플렉스 관계자는 “현재 영화관 수입은 크게 준 상황에서 인건비 등 고정비용 지출만 큰 상황”이라면서 “극장을 지속해 운영할 수 있도록 정부가 금융권과 협의해 대출 만기일 연장 등 추가 지원도 검토해줬으면 한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