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본에 10건 이상 보고돼, 재발과 재감염으로 구분···퇴원 환자에 바이러스 남는 것으로 추정
천은미 “자가격리 2주를 3주로 늘려야”···김우주 “퇴원 환자, 전염력 낮지만 분석 필요해”

2일 코로나19 집단 감염 발생으로 폐쇄된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2일 코로나19 집단 감염 발생으로 폐쇄된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조만간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격리해제자도 5800명을 넘어섰다. 하지만 격리해제 후에도 재발이나 재감염 가능성이 있어 전문가들은 사후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2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총 누적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9976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5828명이 격리해제됐다. 해제자 숫자는 전날 대비 261명이 증가한 수치다.    

문제는 격리해제자 중 발생하는 재발이나 재감염이다. 이 숫자는 현재로선 많지 않은 편이다. 방대본에 따르면 10건 이상 보고됐다. 현재 숫자는 적지만 향후 변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 의견이다. 재발은 글자 그대로 질환이 다시 발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환자 몸 속에 남아있던 바이러스가 다시 살아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반면 재감염은 퇴원 환자가 다른 사람으로부터 다시 감염된 사례를 지칭한다.

이같은 사례를 보면 지난 2월 코로나19 25번 환자(70대 여성)가 퇴원 6일 만에 재발한 경우가 있었다. 당시에는 이례적 현상으로 평가 받았다. 전문가들은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코로나19 재발이 다시 주목 받은 것은 지난달 하순 경기도 김포시에 사는 30대 부부와 생후 17개월 된 딸이 완치 판정을 받은 뒤 재확진된 경우 때문이다. 이밖에도 경기 시흥과 대구, 경북 예천 등에서도 재발이나 재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코로나19 재발이나 재감염에 대한 전문가들 견해는 다양한 편이다. 하지만 이들은 공통적으로 격리해제자들이 병원에서 퇴원한 후에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주문을 빼놓지 않았다.   

우선 전병율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장(전 질병관리본부장)은 “(코로나19 재발이나 재감염은) 큰 문제는 없고 예외적 경우에 한정한다”고 전제했다. 상대적으로 다른 전문가들에 비해 발생 가능성을 낮게 보고 예외 사례로 분석했다. 전 원장은 “코로나19 격리해제자는 2주일 정도 기간 동안 쉬면서 증상을 관찰하고 이상 여부를 신고하도록 돼있다”며 “재발과 재감염은 분리해 판단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국내에서는 잠복기를 2주 정도로 판단하고 이 기준에 얽매여 있다”면서 “자가격리는 3주일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기관이 퇴원 기준에 적합해 격리를 해제했더라도 환자들은 인체에 바이러스가 남아 있을 가능성에 대비해 3주일 간 자가격리를 하고 철저하게 이상 여부를 체크해야 한다는 천 교수 논리다. 천 교수는 “퇴원 환자들은 한 달가량 본인 스스로 조심하는 방법 밖에 없다”며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고 손을 자주 씻는 등 개인위생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재발과 재감염 외에 의료기관의 검사 한계로 인해 음성 판정을 받아 퇴원한 후 다시 양성 판정을 받는 사례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핵심은 퇴원 환자가 코로나19 전염력이 있느냐 여부인데 논란이 적지 않다”며 “중국 사례 등을 보면 전염성은 일단 낮은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국 연구에서는 회복 환자 대변에서 바이러스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했다”라며 “변기를 통한 감염도 우려되는데, 질본이 정보를 독점하고 있어 분석이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김 교수는 “격리해제자들은 2주일 정도 자가격리 후 이상이 체크돼야 신고하는데 그들도 격리 기간이 끝날 무렵 확진검사를 또 받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전체 격리해제자에 비교하면 재발 환자 숫자나 비중이 작은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단 한명도 소홀함 없이 최선을 다해 막는 것이 방역의 기본인 점을 감안하면 재발이나 재감염 사례 분석을 전문가들과 공유한 후 국민들에게 소상히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