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서비스 ‘속도전’ 붙은 금융권
전문가 “핀테크 중심으로 추진될 경우 산업 발전에 제약”

 

마이데이터 시대를 앞두고 금융권의 움직임이 활발하다./사진=셔터스톡
마이데이터 시대를 앞두고 금융권의 움직임이 활발하다./사진=셔터스톡

마이데이터 시대를 앞두고 핀테크(FinTech·금융기술) 업계뿐만 아니라 금융권 움직임이 활발하다. 기존에 운영하던 자산관리 서비스 개편뿐만 아니라 새로운 서비스 출시도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마이데이터가 금융권의 새로운 혁신 플레이어로 자리 잡으려면 은행의 주도적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30일 금융위원회·행정안전부·방송통신위원회는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신용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에 대한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하고 31일부터 40일간 입법예고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데이터3법 시행령은 7월 말까지 정비절차를 마친 뒤 오는 8월 5일부터 시행된다. 이중 신용정보법은 마이데이터 산업을 도입하고 신용정보업(CB) 규제를 선진화하는 등 내용을 중점적으로 담았다.

당초 마이데이터 사업은 핀테크 기업의 시장 진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금융위가 모든 기업에 문을 열어준다는 입장을 보이자 금융권도 직접 상품 개발에 나서며 경쟁 대열에 가세한 것이다. 데이터3법 시행을 앞두고 금융권의 마이데이터 관련 서비스 전략에는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마이데이터 사업은 은행·보험·카드 등 시중 금융기관에 흩어진 개인정보를 모아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소비자는 서로 다른 금융기관 전산망에 일일이 접속하지 않고 금융자산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행 입출금 계좌 잔액, 카드사에 지급할 결제대금, 증권사에 보유한 금융상품의 현재가치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금융권은 기존 서비스 개편뿐만 아니라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며 마이데이터 전략에 나섰다. 신한은행은 모바일 플랫폼 쏠(SOL)을 개편하며 개인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인 ‘마이자산’을 추가 출시했다. 다른 금융을 포함한 은행·카드·증권·보험 등 금융거래를 한눈에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다. KB국민은행도 현물자산 정보를 종합 관리할 수 있는 자산관리 애플리케이션 ‘KB 마이머니’를 전면 개편했다. 자산정보를 모아 보여주던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해 보유자산에 대한 컨설팅 기능을 추가했다.

우리은행은 빅데이터로 분석한 고객 정보로 개인 맞춤형 상품‧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의 초(超) 개인화’ 출시를 앞두고 있다. 지난해부터 고객군별 마케팅 모델을 개발해 올해 최적화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외부 컨설팅을 통해 마이데이터 전략 수립에 나선 은행도 있다. 농협은행은 최근 농협금융지주 차원에서 ‘농협금융 마이데이터(MyData) 대응전략 수립 자문용역’ 사업 공고를 내고 본격적인 사업 준비에 나섰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권에서는 이미 데이터3법 통과를 예상하고 내부에서 계속 관련 서비스를 추진해왔다. 금융사뿐만 아니라 앞서 플랫폼을 갖춘 핀테크 기업과 경쟁까지 더해 관련 서비스 전략 노출을 최소화하려 할 것이다”며 “금융사업자들도 빅데이터를 분석한 금융서비스나 상품을 개발해 제공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힘든 환경으로 업계 간 치열한 경쟁은 결국 소비자 편의를 확실히 올릴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마이데이터 산업에서 금융권의 주도적 참여를 강조하고 나섰다. 마이데이터산업이 핀테크 중심으로 추진될 경우 산업 발전에 제약이 생긴다는 지적이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마이데이터 산업이 핀테크 중심이 되면 정보보안 인프라 및 운영 노하우 부족 등으로 산업에 제약이 따르고 정보유통에 대한 이익이 특정 업체로 집중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은행은 종합적인 자산관리서비스 제공이 어려워 고객 접점 확보의 주도권을 상실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연구위원은 “은행은 이미 축적된 데이터나 높은 신뢰 수준의 보안기술을 활용해 현행 감독체계 내 정보보호 수준을 보장하고 관련 산업에 투자자 역할도 할 수 있다”며 “최근 오픈뱅킹 등 정보 개방성이 확대됨에 따라 은행과 핀테크가 윈윈 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무엇보다 은행의 주도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