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금융지주사에 5% 이상 지분 투자···5개사에서는 ‘최대주주’
지난해 9월말 대비 지분율도 모두 증가···‘연금 사회주의’ 비판도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그래프=이다인 디자이너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그래프=이다인 디자이너

국민연금이 투자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에 나서자 국내 금융지주사들의 부담감도 커져가고 있다. 지금 당장 회장 연임 이슈가 걸려있는 신한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뿐만 아니라 다른 지주사들 역시 국민연금이 주요 주주로 있기 때문에 과도한 경영개입에 대한 우려가 늘어나고 있다.

금융지주사 내 국민연금의 지분율도 최근 조금씩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금융사 안팎에서는 ‘연금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 여론도 형성되고 있다.

지난 19일 국민연금은 이번 주주총회에서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과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의 사내이사 선임을 반대하기로 결정했다. 국민연금은 현재 신한금융의 최대주주(9.76%)이자 우리금융의 2대주주(8.82%)다.

앞서 국민연금은 지난해 12월 27일 ‘적극적 주주활동 가이드라인’을 의결하며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를 예고한 바 있으며 지난달 초에는 신한금융을 비롯한 56개사에 대한 주식 보유 목적을 일반 투자로 일괄 변경하기도 했다. 일반 투자는 올해 초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신설된 주식 보유 목적으로 단순 투자에 비해 적극적인 주주활동이 보장된다. 이달 5일에는 우리금융에 대한 주식 보유 목적도 일반 투자로 변경했다.

국민연금의 이러한 움직임에 금융권은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금융지주사는 은산분리 규제로 인해 명확한 주인이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적극적 주주권 행사의 첫 타깃이 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현재 국민연금은 7개 금융지주(신한, KB, 하나, 우리, BNK, JB, DGB)에 5% 이상의 지분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중 5개(신한, KB, 하나, BNK, DGB) 회사에서는 최대주주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금융 역시 완전 민영화를 거쳐 예금보험공사의 지분(17.25%)이 매각되면 국민연금이 최대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지주사 내 국민연금의 지분율도 최근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연금의 지분율이 가장 높은 BNK금융(11.56%)의 경우 지난해 9월말 공시(10.70%)때 보다 0.86%포인트 늘어났으며 KB금융도 같은 기간 9.50%에서 9.97%로 0.47%포인트 증가했다. 하나금융과 신한금융, 우리금융 등 역시 각각 0.05%포인트, 0.38%포인트, 1.11%포인트씩 늘어났다.

국민연금의 투자 확대와 주주권 행사 시도가 맞물려 일어나자 금융사의 경영 독립성이 침해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은행주 주가부양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그로 인한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는 비판이다. 투자 목적이 일반 투자로 변경된 신한·KB·하나·우리금융뿐만 아니라 다른 회사들 역시 향후 이슈가 발생했을 때 언제든지 유사한 상황을 맞이할 가능성이 있다.

한 금융지주 내 관계자는 “국민연금의 반대 결정으로 두 회장의 사내이사 선임안이 부결될 가능성을 극히 낮지만 민간 기업의 경영에 연기금이 목소리를 내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지는 않는다”며 “회사는 주주들의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기업가치, 주주가치 제고를 이유로 주주권을 행사하는 것인데 오히려 과도한 경영 개입이 주주가치를 훼손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