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녹십자·이뮨메드 등 국책과제 지원 및 임상시험 진행 중···"완치자 혈액 확보해 바이러스 치료제에 적용"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치료제 개발이 한창이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도 국책 연구과제에 신청하거나 연구소와 협력하는 등 치료제 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하는 추세다. 특히 바이러스 전문 치료제를 개발하던 기업들의 개발 속도가 빠르다. 바이오 기업들은 기존 바이러스 후보물질에서 코로나19 적응증을 발견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9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15개사가 코로나19 치료제나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거나 준비 중이다. 정부 연구기관 4곳도 자체적으로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돌입한 것으로 파악 중이다.

코로나19를 개발 중인 제약‧바이오 기업은 셀트리온,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셀리버리, 노바셀테크놀로지, 이뮨메드, 유틸렉스, 지모믹트리, 카이노스메드, 코미팜, 젬백스앤카엘 등 10개사다. 이들은 새로운 후보물질을 발굴하거나, 기존에 출시했던 의약품에서 코로나19에 효능이 있는지 검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셀트리온은 국책 과제를 지원해 치료제 물질 개발에 나섰다. 최근 셀트리온은 질병관리본부의 신종코로나에 대한 국책 과제인 ‘2019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용 단클론 항체 비임상 후보물질 발굴’ 공고에 지원 절차를 마친 상태다. 코로나19 완치자 혈액도 1차로 공급받았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치료제 물질 개발과 관련해 보건당국 및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업하고 있다. 코로나19 혈액도 의료기관 협조에 따라 확보했다”며 “국책 과제 지원이나 제반은 마련된 상태고 (바이러스) 항체 스크린 중이다. 해당 물질 개발 완료 후에 임상 시험 진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GC녹십자는 목암생명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치료제와 백신을 새롭게 개발 중이다. 확진자의 혈액에서 항체를 만드는 세포인 ‘B세포’를 분리해 코로나19의 치료용 항체 후보물질을 발굴한다. 이후 재조합기술을 활용해 단일클론항체치료제 개발에 돌입할 계획이다. 녹십자 측은 유전재자조합 기술과 단일클론항체치료제를 개발하는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확진자의 혈액으로부터 효력이 좋은 항체서열을 확보해 치료제 개발을 서두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오 기업 이뮨메드는 가장 빠르게 식품의약품안전처 '치료목적사용승인'을 받았다. 이뮨메드는 서울대학교병원과 치료제 ‘HzVSFv13주’의 개별환자 대상 치료목적사용승인 시험을 진행했다. 이뮨메드는 2인~25명 소규모 환자 대상 사용승인 시험을 진행하기 위해 보건당국에 허가를 신청했다.

이뮨메드 관계자는 “이 치료제는 처음부터 코로나19 치료를 목적으로 만든 물질은 아니다. 원래 코로나19는 적응증 중 4순위였다. 다양한 바이러스 질환 치료 후보물질을 연구하다가 주치의 주도 하에 개별 환자 임상에서 긍정적인 효능이 있었다”며 “지난 주 금요일 서울대병원에서 두 번째 환자에게 투약하기 위한 식약처 승인이 된 상황이고 현재 효능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소규모 환자집단도 치료목적사용승인을 받기 위해 식약처에 접수했다. 소규모 환자 임상은 식약처가 30일 이내 결과를 준다”며 “개별환자 뿐만 아니라, 집단 환자 투약을 통해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의 기존 바이러스 질환 치료 후보물질을 개발 중인 기업을 중심으로 치료제가 빠르게 나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바이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원래 바이러스 질환 항암제 후보물질을 개발 중인 회사 자체가 많지 않았다. 백신이 아니라 치료제를 개발한다고 하면 당장 바이러스 후보물질을 만들어내기 힘들고, 만들었다고 해도 식약처 임상 승인을 받기까지 오래 걸릴 듯”이라며 “코로나19 치료제가 정상적으로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임상 2상, 3상까지 가야하는데 그러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말했다.

그는 “임상시험을 건너뛸 순 없으니 (기업들이) 기존 후보물질에서 코로나19 적응증을 발견해 긴급사용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