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센터 3곳에 퇴원환자 41명 입소···경증·퇴원환자 상호 감염 가능성
의료계 “경증환자 수용 공간도 부족, 퇴원환자와 분리 검토해야” 주장

4일 경북 경산시 경산역 일대에서 육군 2작전 사령부, 50사단, 경북도, 경산시가 함께한 코로나19 확산 방지 방역작업이 실시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4일 경북 경산시 경산역 일대에서 육군 2작전 사령부, 50사단, 경북도, 경산시가 함께한 코로나19 확산 방지 방역작업이 실시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최근 코로나19 확산 추세에 따라 경증환자 위주 치료 공간인 생활치료센터가 주목 받고 있다. 정부가 지정해 의료진이 상주하며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생활치료센터에 경증환자와 함께 퇴원환자도 수용이 가능토록 규정돼 있어 의료계는 감염 위험성을 지적하고 있다. 경증환자로부터 퇴원환자가 감염될 수 있고, 가능성은 낮지만 반대 사례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5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기준 대구·경북 지역 생활치료센터 3개소에 총 584명의 코로나19 경증환자가 입소해 있는 상태다. 584명 중 41명은 병원에서 퇴원한 환자다. 나머지 543명은 자가격리 중 센터에 입소한 경증환자다. 3곳 센터에 의사 12명, 간호사 22명, 간호조무사 26명 등 총 60명 의료인력이 상주하고 있다. 각각 경북대병원과 삼성의료원, 고려대의료원 등 상급종합병원 의료진이 참여하고 있다. 

이어 이날 ‘경북대구3 생활치료센터’(문경 서울대학교 인재원)와 ‘경북대구4 생활치료센터’(칠곡 한티 대구대교구 피정의 집)가 추가 개소했다. 오는 6일에는 ‘경북대구5 생활치료센터’(칠곡 대구은행 연수원)가 개소한다. 또 천안 우정공무원 연수원, 구미 LG 디스플레이 기숙사, 제천 국민건강보험공단 인재개발원 및 국민연금공단 청풍리조트에도 생활치료센터 설치가 이뤄질 예정이다.

여기서 눈길을 끄는 대목은 3개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퇴원환자 41명이다. 당초 코로나19 경증환자를 돌보기 위한 취지로 준비한 생활치료센터에 경증환자와 퇴원환자를 모두 수용한 것이다. 실제 정부는 경증환자 외에도 퇴원환자를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도록 규정해 놓은 상태다. 정부가 최근 공개한 ‘생활치료센터 운영지침’에 따르면 ▲경증환자 ▲입원한 확진환자 중 퇴원기준을 충족한 경우 ▲적절한 자가격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센터 입소가 가능하다. 

이에 퇴원 기준을 충족해 격리병상에서 해제된 환자가 입소할 경우 경증환자로부터 재감염 우려가 있다는 의료계 지적이다. 의료계가 누누이 지적해왔지만, 이번 코로나19는 증세가 약하지만 전파력은 높은 것이 최대 특징이다. 상대적으로 가능성은 낮지만 퇴원환자가 코로나19를 재발병할 경우에는 거꾸로 경증환자에게 감염시킬 수도 있다.

실제 퇴원 후 코로나19가 재발병된 환자 사례가 확인됐다. 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고 퇴원한 뒤 엿새 만에 다시 확진 판정을 받은 25번 환자(여·73세) 사례다. 이 환자는 외부로부터 재감염은 아니고 몸 안에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해 다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다. 이같은 사례는 드물긴 하지만 결국 경증환자와 퇴원환자를 모두 수용하는 것은 의학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전병율 차의과학대학교 보건산업대학원장(전 질병관리본부장)은 “경증환자를 수용해 치료를 지원하는 것이 생활치료센터 취지인데 퇴원환자까지 수용할 여유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정부 방침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언급은 정부가 우선적으로 경증환자를 배려해 센터에 입소시켜야 한다는 지적으로 풀이된다.  

또 다른 전문가는 “생활치료센터는 1인 1실이 원칙이지만 코로나19 환자들이 모이게 됨에 따라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여러 상황을 감안하면 퇴원환자는 경증환자와 구분할 필요성이 있다”고 조언했다.  

또 현실적으로 대형 규모의 생활치료센터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앞서 언급대로 대구·경북 지역 생활치료센터 3개소에 입소해있는 환자는 총 584명이다. 이날 개소한 경북대구3 생활치료센터는 99명, 경북대구4 생활치료센터는 100명 경증환자 입소가 가능하다. 

이에 향후 1만명 코로나19 환자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체육관 같은 대형시설을 빌려 생활치료센터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병율 원장도 “경증환자를 체육관 같은 대형 시설에서 치료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복수의 의료계 관계자는 “정부도 고생하고 있지만, 생활치료센터는 공간 확보와 감염 방지 차원에서 정책을 추진하고 집행해야 한다”며 “대기업들도 자사 연수원 등 대형시설을 내놓는데 주저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