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 이어 라임 사태까지···은행, 고객 신뢰 잃는 분위기
“은행 손실 1000억~2700억원 될 것”
은행 고객들 불완전판매 주장 나서  

지난해 10월에 열린 펀드 환매 연기 관련 기자 간담회에서 투자자들에게 사과하고 있는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이사(사진 위쪽)와 지난해 12월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DLF 사태 관련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 재개최’를 요구하고 있는 DLF피해자대책위원회/사진=연합뉴스
지난해 10월에 열린 펀드 환매 연기 관련 기자 간담회에서 투자자들에게 사과하고 있는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이사(사진 위쪽)와 지난해 12월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DLF 사태 관련 금융감독원 분쟁조정위원회 재개최’를 요구하고 있는 DLF피해자대책위원회/사진=연합뉴스

국내 금융지주들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에 이어 라임자산운용 펀드 사태에까지 휘말리며 신뢰성에 상당한 타격을 입는 분위기다. 금융업계에선 라임 사태로 보게 될 은행권 손실 규모가 최대 27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은행을 통해 라임 펀드에 가입한 고객들은 “안전한 상품이라는 말만 듣고 가입했다가 손실을 보게 됐다”며 은행의 반복된 사고에 높은 불신을 토로하고 있다.

◇은행권의 라임 사태 손실액 최대 2700억원

1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의 ‘라임자산운용 중간 검사결과 및 향후 대응방안’ 발표 이후 은행권의 라임 관련 손실 우려가 갈수록 커지는 중이다. 증권업계는 라임 사태와 관련해 은행권의 손실이 1000억원에서 최대 27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최정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라임펀드 관련 은행 예상 손실액은 가정에 따라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만 은행 전체적으로 약 1000억~2700억원까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신한지주를 제외한 여타 은행들의 손실 폭은 매우 제한적일 전망이나 신한지주의 경우는 라임펀드 판매 잔액 자체가 많고 무역금융펀드에 총수익스와프(TRS)를 제공한 신한금투 익스포져에 대한 선순위 회수 가능 여부에 따라 예상 손실 폭이 상당히 커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TRS는 계약 상으로 선순위 회수가 가능하지만 금융당국이 신한금투가 라임자산의 부실은폐·사기혐의를 인지하고도 공모한 정황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어 선순위 회수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신한금투가 TRS를 선순위로 회수하지 못하게 될 경우 신한지주의 예상손실액은 200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한지주가 지난해 4분기 실적에서 신한금투 TRS에 대해 570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했는데 이보다 3배 이상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계산이다. 

하나금융투자는 19일 라임 사태로 은행권의 손실액이 최대 2700억원이 넘을 수 있다고 전했다. / 사진=시사저널e

◇은행 고객들 “안전하다는 말만 들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환매 중단 모(母)펀드에 투자한 총 173개의 자(子)펀드의 판매사는 19개사다. 수탁고 1조6679억원 가운데 우리은행이 3577억원, 신한금투 3248억원, 신한은행 2769억원 순으로 많이 판매했다. 

특히 개인고객 판매 규모도 우리은행이 2531억원, 신한은행이 1697억원, 신한금투가 1202억원 순으로 많았다. 금감원은 라임 펀드의 편입자산 건전성 문제로 개인 등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는 작년 말 기준으로 라임 펀드에 가입한 개인 투자자의 계좌 수가 총 4035개로 이 중 은행 판매분이 66%(2663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개인 투자자의 계좌 1개당 평균 투자금은 2억5000만원으로 예상됐다. 은행을 통해 가입한 투자자는 평균 2억2000만원이다. 

은행을 통해 라임 펀드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은행으로부터 손실 위험을 설명받지 못하고 투자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터넷 카페 ‘라임자산운용 환매중단 피해자 모임’에는 은행의 불완전판매 정황과 관련해 다수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한 은행 고객은 “원금 손실 얘기는 없었다”고 주장했고 다른 투자자는 “(은행에서) 손해 볼 일이 없다고 안내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투자자는 “안전 상품이라는 말에 그냥 따라 했을 뿐인데 이런 상황이 됐다”고 토로했다. 

최정욱 연구원은 “DLF에 이어 은행권 펀드 관련 불완전판매 및 배상규모 확대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