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S 때와 달리 한국의 대중국 ‘가치사슬’ 심화···中 의존도 2003년 1.8%에서 2014년 5.3%로 증가

/ 자료=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한국경제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2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KIEP는 한국경제가 중국과의 무역 및 금융 연계성이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유관산업 및 실물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환율 및 자본유출입 등 금융부문을 통해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예상했다.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로 달러화 및 엔화는 강세를 보였으나 원화와 위안화는 동반 약세를 보였다. 원·달러와 위안·달러의 동조화 현상 강화에 따른 환율변동 리스트는 증가했다.

KIEP는 한국의 대중국 수입에서 후베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2018년 1.0%)하며, 후베이의 대한국 주요 수출 품목과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의 관련성이 낮아 한국의 수출에 주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지난 2003년 SARS 시기와 비교해 한국의 대중국 가치사슬이 심화돼 중국 내 조업 단축, 중국의 수출 및 소비 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한국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커질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무역 총액 기준 한국산업의 글로벌 밸류 체인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의 1.8%에서 2014년 5.3%로 증가했다.

KIEP는 SARS 사례로 미루어볼 때 중국경제에 대한 영향은 2020년 상반기에 집중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1/4분기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확산이 1/4분기 말 안정기에 접어들 경우 2020년 중국경제의 연간 성장률은 0.5%p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만약 확산이 2/4분기까지 지속된다면 연간 성장률이 1%p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KIEP는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영향이 단기간에 그칠 가능성이 높지만 ▲정부 차원의 사업지속계획(BCP) 가이드라인 수립 및 기업 차원의 BCP 구축 지원 ▲국제금융시장 위험요인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중국의 적극적 정책 개입에 대한 대비 ▲중국 지역별 확산 정도에 따른 대응방안 모색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