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계층 잘 대변하겠다’는 대외적 메시지 던지는 효과 커
전문성 지닌 인물 등용해 해당 부문 챙기겠다는 의지 표명하기도

본회의가 열리고 있는 국회 본회의장 모습. / 사진=연합뉴스
본회의가 열리고 있는 국회 본회의장 모습. / 사진=연합뉴스

총선이 아직 3달 가까이 남았지만 정치권은 벌써부터 눈치싸움이 치열합니다. 어떤 지역구에 누가 등판할지에 관심이 쏠리는데요. 이와 별도로 각 당의 비례대표에 누가 이름을 올릴지도 함께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비례대표는 하나같이 뭔가 상징성 있는 인물들이 맡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동안 총선의 경우를 돌이켜보면 이 같은 질문이 나올만한 듯합니다. 주로 장애인, 이주여성 등 사회적 약자에 속하는 이들을 전면에 내세우는 경우가 많았죠.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우선 여성이 많을 수밖에 없는 이유는 홀수 번호는 여성이 하도록 아예 법으로 규정을 했기 때문입니다. 여성의 정치 참여를 더 끌어올리기 위한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겠죠?

이 밖에 사회적 약자 등 상징성 있는 인물들을 배치하는 이유는 대외적으로 메시지를 던질 수 있는 효과 때문이라고 합니다. ‘우리 당은 이렇게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다’,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겠다’는 것을 비례대표를 통해 소리 없이 외치는 것이죠.

또 그만큼 해당 부문을 잘 대변하고 실정에 맞는 법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강점도 있으니 사회적 약자에 속하는 특정 계층 후보들을 중용한다고 합니다.

꼭 사회적 약자들만 비례대표에 선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문성을 가진 인물들을 끌어들여 해당 부문을 챙기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기도 하죠. 특히 정치인들이 약한 경제 및 기업과 관련한 인물들을 영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KT전무를 지낸 송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이나 경제전문가 채이배 국민의당 의원 등은 경제 부문의 전문성을 인정받아 비례대표로 의원이 된 사례들입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