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기업 58.8% ,“비용’이 애로사항” 응답···64% “정부 자금 지원책 이용할 것”
전문가 “생산설비·기술 인력 등 직접적 지원으로 정책 실효성 높여야 ”

표=이다인 디자이너
/ 표=이다인 디자이너

여성 기업의 스마트공장에 대한 지원이 늘어나는 가운데, 아직 실질적인 구축률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이나 소상공업 비율이 높고, 비용이나 인력 부족 탓에 스마트공장 구축이 쉽지 않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스마트공장은 제조업 혹은 제품 제작 단계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최첨단 공장을 뜻한다. 현재 대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지원 정책이 발표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을 신산업 강소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8대 선도 사업을 발표했는데, 스마트공장도 그중 하나였다. 중기부는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 예산을 1조9000억원까지 늘렸다.

여성 기업들도 속속 스마트공장 구축에 나서고 있는 추세다. 14일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여성경제연구소 ‘여성 기업 이슈 브리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을 기준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 중이라고 응답한 여성 기업 대표는 10.6%였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이미 완료한 여성 기업은 1.8%에 그쳤다. 스마트공장을 세우고 있거나 이미 세운 여성 기업 5개 중 3개는 구축 ‘1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답했다.

여성 기업들은 스마트공장 구축 후 기대이익으로 ‘생산 효율성 증대 (70.6%)’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다음으로 작업 안정성 증가(11.8%), 기업의 혁신 능력 강화(8.8%), 인건비 감소, 글로벌 수준과의 기술품질 격차 해소, 기타(각 2.9%)가 뒤를 이었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방해하는 애로사항도 있었다. 여성 기업 58.8%는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때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비용 측면’을 꼽았다. 그다음은 표준화 문제(17.6%), ICT 기술 활용 인력 부족(14.7%), 스마트팩토리 이해 부족(8.8%)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공장에 필요한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방증이다.

실제로 스마트공장과 관련해 정부 지원을 활용한 기업들이 받은 지원 종류로는 자금 지원(47.6%)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그다음은 컨설팅(28.6%), 생산 자동화 설비(14.3%), 기술적재원과 교육 지원(각 4.8%) 순이었다. 앞으로 활용할 정부 정책으로 자금 지원책을 꼽은 응답자는 64.7%였다. 이어 생산 자동화 설비(32.4%), 기술적 재원(2.9%)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여성 기업 업종이 특정 소상공업이나 유통산업에 몰려 있기 때문에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여성 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 도매 및 소매업에 종사하는 비중이 각각 32.7%, 29.5%을 차지했다.

한 여성 기업 대표는 “여성 벤처기업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전체 기업 중에서는 아직도 낮은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2018년부터 ICT 서비스업종에 뛰어든 여성 창업가가 많아졌지만 아직도 유통이나 오프라인 사업 종사자가 많아 스마트공장을 유치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스마트공장에 대한 교육이나 인력,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벤처업계 전문가들은 여성 기업들이 주된 애로사항으로 꼽는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자금 정책이 현실화돼야 한다는 해결책을 내놨다.

윤아름 여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정부는 스마트공장 구축 확대를 위해 지원 예산을 편성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지난 8월부터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가점 대상에 여성 기업을 포함해 여성 기업들의 참여도를 높이려고 노력하는 중“이라며 ”여성 기업의 경우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때 비용 측면에서 가장 크게 애로를 겪는 만큼 스마트공장 구축 확대를 위해 직접 지원을 현실화해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