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I저축은행·유진저축은행 등 지난해 새 모바일 플랫폼 출시···고객 이탈 우려
저축은행 모바일뱅킹, 예적금과 대출 수요 다수···“미도입 시 오히려 이미지 악화”

유진저축은행(사진 위쪽)과 SBI저축은행(사진 아래쪽) 등 저축은행들이 지난해 모바일 플랫폼을 새롭게 선보이며 모바일 고객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최근 오픈뱅킹 도입이 가시화됨에 따라 고객이탈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사진=각 사
유진저축은행(사진 위쪽)과 SBI저축은행(사진 아래쪽) 등 저축은행들이 지난해 모바일 플랫폼을 새롭게 선보이며 모바일 고객 확보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최근 오픈뱅킹 도입이 가시화됨에 따라 고객이탈에 대한 우려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사진=각 사

오픈뱅킹 도입이 가시화됨에 따라 모바일뱅킹 사업에 대한 저축은행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 제2 금융권 오픈뱅킹 서비스를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저축은행은 현재 시중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모바일뱅킹이 덜 정착돼 있기 때문에 오픈뱅킹이 도입될 경우 은행 고객들에게 모바일 고객들을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시중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 노출이 늘어날 경우 전체적인 업계 이미지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제2 금융권 내 오픈뱅킹 서비스 도입을 위한 연구용역을 준비하고 있다. 이달 중으로 업체를 선정해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조만간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시행된 오픈뱅킹이 은행권에서 단기간 내에 성공적으로 정착한 만큼 제2 금융권 도입도 예정보다 서두를 것으로 전망된다.

오픈뱅킹은 개별 은행 앱 하나로 모든 은행 계좌의 출금·이체 거래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현재 국내 18개 은행 전체가 오픈뱅킹에 참여하고 있으며 제2 금융권까지 확대될 경우 시중은행 앱에서 저축은행 계좌를 조회하고 이체 업무도 처리할 수 있다.

저축은행업계에서는 오픈뱅킹 도입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각 저축은행이 영업 확대를 위해 잇따라 새롭게 내놓은 모바일뱅킹 플랫폼들이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3월 유진저축은행이 ‘유진디지털은행(유행)’을 출시한 데 이어 4월에는 KB저축은행이 ‘KB착한뱅킹’을 개편했으며, 업계 1위 SBI저축은행도 6월 ‘사이다뱅크’를 출시했다. 오케이저축은행도 올해 초 자체 디지털 플랫폼을 새롭게 내놓을 예정이다. 저축은행중앙회 차원에서 지난해 통합 모바일 앱 ‘SB톡톡 플러스’를 출시하기도 했다.

출시된 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플랫폼들이 오픈뱅킹으로 인해 시중은행의 플랫폼들과 경쟁하게 될 경우 인지도나 편의성, 마케팅 등에서 열세를 보이는 저축은행의 플랫폼이 시장에서 도태될 위험이 있다.

오픈뱅킹 참여를 위해 지불해야 하는 특별참가금도 부담이다. 오픈뱅킹은 은행 등 금융사의 회비로 구축된 금융결제원의 금융결제망을 필수로 사용해야 한다. 외부 기관이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별참가기관으로서의 자격을 얻고 특별참가금을 지불해야 한다. 금액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진 않았지만 약 8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되는 서비스를 추가 비용까지 지불하면서 도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아무리 저축은행들이 수년간 성장을 해 왔다고 해도 시중은행에 비할 바는 아니다”고 밝혔다.

반면 오픈뱅킹에 따른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는 시선도 일부 존재한다. 모바일 고객의 수요가 시중은행과 완전히 겹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부정적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대신 시중은행의 모바일뱅킹에 함께 노출됨으로써 이미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다른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고객들은 예적금 가입이나 대출 신청을 위해 모바일뱅킹을 이용하는 사례가 많다”며 “단순 조회나 계좌이체를 위해 저축은행의 모바일뱅킹을 이용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오픈뱅킹으로 고객이 많이 이탈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시중은행의 모바일뱅킹에 저축은행의 계좌도 함께 조회된다면 아직까지 남아 있는 고금리 대부업, 저축은행 사태 등의 이미지가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며 “이미 거부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인 오픈뱅킹을 도입하지 않는다면 ‘비제도권 금융’이라는 부정적 이미지가 추가로 생길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