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성훈 행장, 3개월 임기 연장 후 재연장···자본 확충 임무 막중
잇단 대출상품 판매 중단으로 경영 악화···특례법 개정안·주주사 협의 등도 난항

심성훈 케이뱅크 은행장/사진=연합뉴스
심성훈 케이뱅크 은행장/사진=연합뉴스

케이뱅크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힘겨운 한 해를 보낼 것으로 전망된다. 유상증자를 마무리하기 위해 심성훈 케이뱅크 은행장의 임기가 또 한 차례 한시적으로 연장됐지만 통과가 예상됐던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 개정안이 여전히 국회에 계류돼 있어 자본 확충에 난항을 겪고 있다.

그나마 남아 있던 대출상품도 추가로 판매가 중단되고 있어 경영 상황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 주주사들과의 협의를 통한 추가 증가 가능성 역시 크지 않은 것으로 전해져 영업 정상화를 위한 케이뱅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일 심성훈 케이뱅크 은행장의 임기가 추가로 3개월 연장됐다. 앞서 지난해 9월 케이뱅크는 성공적으로 유상증자를 마무리하기 위해 올해 1월1일까지 심 행장의 임기를 연장한 바 있다.

3개월 동안 케이뱅크의 자본 확충 문제가 해결되지 않자 동일한 이유로 심 행장의 임기가 재연장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해 지난해 9월 당시 이사회 역시 심 행장의 임기를 연장하면서 ‘차기 행장 후보자가 없다면 내년 3월말 주주총회까지 임기를 연장할 수 있다’고 합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초 총 59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계획했지만 대주주인 KT의 공정거래법 위반 전력 때문에 무산됐다. 지난해 7월에는 276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성공했지만 규모가 작아 임시방편에 그쳤다.

그동안 케이뱅크의 BIS자본비율은 2018년 말 16.53%에서 지난해 3월 12.48%로 낮아졌으며 6월말에는 10.62%까지 하락했다. 9월말에는 소규모 유상증자 등의 영향으로 11.85%까지 올랐으나 여전히 은행권 최하위 수준에 머물렀다. BIS비율이 10%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은행들은 금융당국으로부터 강화된 관리·감독을 받아야 하며 8% 밑으로 떨어지면 비용 통제 등의 시정 조치가 적용된다.

자본비율 하락은 대출상품 판매 중단으로 이어졌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4월 직장인K 대출, 직장인K 마이너스 통장, 비상금 마이너스 통장 판매를 잇달아 중단했으며 6월에는 슬림K 신용대출과 일반 가계신용대출까지 중단했다.

12월31일에는 몇 개 남지 않은 대출상품 중 하나인 ‘쇼핑머니 대출’까지 신규 판매를 중단했다. 쇼핑머니 대출은 지난해 1월 케이뱅크가 출시했던 소액대출 서비스(최대 500만원)로 만 20세 이상 외부 신용등급 1~8등급이면 누구든지 신청할 수 있는 상품이다. 연말까지 50만원 무이자 프로모션도 진행하며 판매에 힘을 쏟았지만 프로모션과 함께 판매도 종료됐다. 현재 케이뱅크가 운영 중인 대출상품은 예적금담보대출 정도가 전부다.

지난 9월말 기준 케이뱅크의 가계대출 총액은 1조4832억원으로 지난 3월(1조4876억원)에 비해 0.30% 줄어들었다. 경쟁사인 카카오뱅크(13조5802억원)와 비교하면 10.92%밖에 되지 않는 수준이다. 순익 역시 카카오뱅크는 지난 3분기 154억원 흑자를 시현한 반면, 케이뱅크는 742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에는 대주주의 자격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의 ‘인터넷전문은행 특례법 개정안’이 국회 정무위원회를 통과하며 유상증자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지만 이 역시 지연되고 있다. 국회 본회의 상정을 위해서는 법제사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하는데 법사위 소속의 채이배 바른미래당 의원이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채 의원은 지난해 인터넷전문은행법 제정 당시에도 은산분리 완화 원칙을 강조하며 통과를 한동안 지연시킨 바 있다.

케이뱅크 측은 현재 주주 간 유상증자 등 다른 자본 확충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성사된다고 하더라도 소규모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케이뱅크 주주사의 한 관계자는 “우선은 특례법 개정안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KT가 아닌 다른 주주사들이 먼저 나서서 증자를 주도하기는 힘든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뤄진다 하더라도 지난해 7월처럼 소규모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현재 지연되고 있기는 하지만 결국 개정안은 통과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KT가 대주주로 올라서고 난 후 진행하는 조치들에 적극적으로 협조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