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오프라인 모두 우리 이웃이 일하는 일터
오프라인 살리기 위한 정부의 전향적 자세 필요

이커머스에 주도권을 내준 대형마트와 SSM(기업형 슈퍼마켓) 등이 생존을 위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대형마트는 전면적 리모델링을 통해 고객을 다시 매장 안으로 끌어들이는 전략으로 맞서고 있지만 온라인이라는 거센 파도를 넘기엔 역부족하다. 대형마트는 그나마 이렇게라도 몸부림치고 있지만 SSM은 급할 때만 가는 동네 구멍가게로 전락하게 생겼다.

오프라인 유통업계의 위기를 단순히 온라인으로 소비패턴의 패러다임이 변하는 과정 중의 하나라고 치부하기엔 그 파급력이 꽤 크다. 유통산업은 생산자와 소비자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데 그 안에는 수송, 포장, 하역, 가공 등의 활동이 있다. 창고업, 운송업 등도 유통산업의 한 부류로 볼 수 있다.

기존에는 전국에 들어선 대형마트나 SSM 등이 물건을 받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구조였다면 이제는 한 회사가 물건을 몽땅 사들이고, 이를 전국 몇 군데 창고에 보관한 후 주문이 들어오면 택배로 제품을 배송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캐셔는 전자결제가, 상품 매대는 스마트폰의 고화질의 이미지가 대체했다.

온라인이 대세라고는 하지만 유통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봐도 상품을 직접 눈으로 보고 구매할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은 쉽게 죽지 않는다. 미국 월마트는 상품 가짓수를 줄이고 오프라인 매장만이 줄 수 있는 재미를 살려 아마존의 공세를 이겨냈다.

오프라인 유통업계의 데스노트는 정부가 갖고 있다.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향후 10년 후를 바라볼 것인지, 아니면 10년 안에 문을 닫을 것인지 판가름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금 정부의 정책방향은 오프라인 유통업은 안중에도 없는 듯하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치열한 자리싸움을 마치 강건너 불구경하는 것처럼 보인다.

유통시장은 규제보다 ‘기 살리기’가 더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골목상권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대형마트에 월 2회 의무휴업을 규제하고 신규출점을 매우 어렵게 만들어 놨지만, 골목상권이 살아났다는 뚜렷한 증거는 없다. 오히려 대형마트를 비롯한 오프라인 유통업만 죽을 쒔다.

폐점 수가 갈수록 늘고 있는 오프라인 매장의 생존 시계를 늘리고 온라인과 공존할 수 있는 유통환경을 만들기 위해선 정부의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온라인이 유통시장을 독점하는 순간 골목시장도 지금의 대형마트처럼 머지않아 생존을 걱정해야 할 처지에 이를 것이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모두 우리 이웃이 근무하는 일터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