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부터 4개월간 라돈 농도 높은 생활공간에 라돈 검출기 설치
환경부 “라돈 기여율 분석해 저감방안 마련 연구 지속할 계획”

사진은  지난 24일 오전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 사진=연합뉴스
지난 24일 오전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모습. / 사진=연합뉴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12월부터 4개월간 전국 공공주택(아파트) 2000가구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농도 실태를 조사하기로 했다.

공동주택은 라돈 농도가 단독주택에 비해 높지 않아 2014년 이후 실태조사를 하지 않았다. 그동안 실내 라돈 농도 실태조사는 지난 2011년부터 2년 주기로 실시해 2014년 이후로는 토양의 영향을 받는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조사했었다.

다만 올해는 난방 효율 제고를 위한 기밀성능 강화, 천연자재 사용이 증가하면서 공동주택의 라돈 문제가 제기돼 공동주택에 대한 조사를 재추진키로 했다. 대상은 기밀성 강황에 따른 환기설비 설치가 의무화된 2008년 이후 준공된 공동주택이다.

조사방식은 기존과 비슷하다. 실내외 온도 및 압력차가 크고 환기 횟수가 낮아 라돈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겨울철(11월~2월)에 침실 또는 거실과 같은 주요 생활공간에 라돈 검출기를 설치한 뒤, 90일간 측정 후 회수하는 방식이다.

조사대상 2000가구는 2008년 이후 입주한 아파트 현황자료를 토대로 지역별 조사 표본수를 추출한 후 해당 지자체의 추천을 거쳐 선정했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 2011년~2018년 약 3만 가구를 대상으로 전국 주택 라돈조사를 추진 및 전국 라돈 분포를 파악한 바 있다. 조사결과 상대적으로 라돈 농도가 높은 7개 지자체에 대해 라돈 관리계획 수립·시행을 권고한 바 있고, 이들 지자체들에 대해서는 조사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지원을 하고 있다.

아울러 그간 조사결과를 토대로 실내 라돈 분포 지도를 작성해 생활환경정보센터 누리집(iaqinfo.nier.go.kr)에 공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공동주택 라돈 노출에 대한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노출요인 및 저감 방안에 대한 연구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내년부터 3년간 공동주택 실내 건축내장재 등 건축자재의 유통 현황을 조사하고, 사용빈도가 높은 실내마감재의 실내공기 중 라돈 기여율 등을 분석한다.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실내내장재를 도출,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라돈 차폐재의 효과를 평가하는 등 저감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정현미 국립환경과학원 환경기반연구부장은 “이번 조사는 실생활 환경조건에서의 라돈 농도를 정확히 평가하는 만큼, 공동주택 라돈 관리정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