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 정상 손잡아도 여행 수요에 영향 미치는 이미지 회복까진 시간 걸릴 듯
홍콩 정세 안정 여부에는 대만 총통 선거 결과가 중요한 변수

한일갈등이 한창이던 지난 9월 인천국제공항 탑승수속 카운터가 일본행 항공기 수속 시간임에도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한일갈등이 한창이던 지난 9월 인천국제공항 탑승수속 카운터가 일본행 항공기 수속 시간임에도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불과 며칠 사이에 홍콩 및 일본과 관련된 정세가 급박하게 바뀌었다. 두 나라 정세 변화가 항공업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예측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는데, 각각 해결돼야 할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게 전문가 및 업계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홍콩의 시위 격화와 한·일 갈등은 그렇지 않아도 힘든 우리 항공업계에 큰 악재가 되고 있다. 공교롭게도 단거리 효자 노선에서 동시에 수요가 줄게 돼 항공업계로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 때문에 두 국가 상황이 언제쯤 바뀔지는 항공업계에서 특히 큰 관심사였다.

그런데 최근 이 두 국가 정세를 급변시키는 사건이 있었다. 우선 한·일 양국이 지난 22일 지소미아(GSOMIA·군사정보보호협정)를 연장키로 하면서 갈등을 풀 실마리를 찾게 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올라가고 있다. 비록 그 과정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이 보이긴 하지만 큰 흐름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소동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다음달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 간 경제협력 등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낸다면 한·일 간 갈등도 점차 누그러질 것이란 얘기다.

홍콩의 경우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 진영이 친중(親中) 진영을 압승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여행업계에선 이번 선거 결과에 특히 주목했다. 신주수 홍콩가자 대표는 “구의원 선거 결과가 범민주 진영에 유리하게 나오게 되면 향후 홍콩 여행 수요 증가에도 도움이 될 것이기에 관심 갖고 지켜봤다”고 전했다.

두 나라 정세는 이처럼 얼핏 보기엔 얼어붙은 여행 수요를 녹이고 항공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것처럼 보이지만 극복해야 할 요소가 여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은 이미지, 홍콩은 안전 문제가 관건이다.

우선 일본의 경우 지금까지의 갈등 구도가 해소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 국내 항공업계 관계자는 “당장 한·일 양국 정상이 화해를 한다고 해도 수요가 갑자기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보진 않는다”며 “여행 수요에는 해당 국가의 이미지가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일본에 대한 이미지가 회복되려면 그만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수요가 되살아나더라도 오사카 등 관광 대도시 위주로 이뤄질 것이며 그 외 나고야 등 지역은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기에 더해 항공사들이 내년 초 하반기 노선을 계획하며 일본 노선을 어떻게 반영할지도 주목된다. 한·일 갈등이 극에 달했던 지난여름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에어서울·제주항공·티웨이항공 등 대다수 항공사가 일본 노선을 축소한 바 있다.

홍콩은 정국 안정이 우선이다. 수요가 늘어날지 여부는 시위가 얼마나 줄어드느냐, 즉 강경 진압에 따른 충돌 등 전쟁 같은 상황이 얼마나 잠잠해지느냐가 관건이다. 일단 구의원 선거결과가 친중 세력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하게 나오게 되면서 홍콩 시위에 대한 중국의 강경한 밀어붙이기 전략에도 변화가 불가피하게 됐다. 하지만 향후에도 홍콩 시위는 오히려 계속될 가능성이 크고 중국이 강경 진압 기조를 갑자기 접을 가능성도 작아 항공업계로서는 여전히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 어려운 상황이다. 외교부의 ‘여행자제’ 경보가 언제 풀릴지도 관건이다.

항공업계가 홍콩 수요를 다시 품기 위한 전제조건인 정국 안정의 여부는 대만 총통 선거 결과에 달렸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홍콩 구의원 선거로 중국정부의 강경 기조가 갑자기 달라지진 않을 것이고, 주목해야 할 것은 대만 총통 선거”라며 “다음 대만 총통 선거 때에도 친중 세력이 패배하는 결과가 나타난다면 홍콩에서도 중국이 강경한 정책을 펴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