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제2차 소부장경쟁력위원회...홍남기 “해당 소재, 부품 국내 수요 60% 생산 효과 예상”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율촌화학 기술연구소에서 열린 '제2차 소재ㆍ부품ㆍ장비 경쟁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율촌화학 기술연구소에서 열린 '제2차 소재ㆍ부품ㆍ장비 경쟁력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위원회는 20일 반도체·전기전자 등 4개 협력사업을 20일 승인했다. 해당 소재, 부품에 대한 국내 수요의 60%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도록 하겠다는 목적이다.

이날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제 2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위원회에서 반도체와 전기 전자 분야에서 수요 기업과 공급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4개 협력사업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4개 협력사업은 구체적으로 ▲이차전지 핵심소재를 개발해 연 3천톤 생산하는 협력사업 ▲수입의존도가 90% 이상인 반도체 장비용 부품 개발사업 ▲자동차·항공 등 핵심소재인 고품질 산업용 탄소소재 생산사업 ▲전량 수입 중인 전자부품 핵심소재에 대한 기술개발 및 공급사업 등이다.

홍 부총리는 이에 대해 주로 공공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초·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수요 기업과 공급 기업이 함께 해당 소재·부품의 기술개발, 상용화, 테스트까지 연계해서 일괄 추진하는 협력모델이라고 설명했다.

위원회는 이들 4개 협력사업에 대한 연구개발(R&D) 예산, 정책자금, 규제 특례 등 패키지 지원 계획들을 논의한다.

홍 부총리는 “위원회 승인을 통해 4개 협력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경우 5년간 중소기업 투자 1800억원과 추가 고용 330명 수준의 효과가 뒤따를 것이다. 품목에 따라 다르지만 해당 소재·부품에 대한 국내 수요의 최대 60% 수준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효과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날 위원회 안건에는 산학연 융합을 통한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기술 조기 확보 방안, 소재·부품·장비 기술 조기확보를 위한 '특허기반 연구개발'(IP-R&D) 강화방안도 있다.

위원회에 따르면 정부는 핵심 기초·원천기술의 조기 확보를 위해 산학연 융합 기반의 ‘4P(포트폴리오·파이프라인·프로세스·플랫폼)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4P 전략은 자립이 시급한 핵심 소재·부품·장비 중심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산학연 간 유기적인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부처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국가 R&D 자원 연계·활용망을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한다.

위원회는 특허기반 연구개발(IP-R&D)을 강화하기로 했다. 내년까지 3개 정부부처에서 500개 가량의 특허기반 연구개발 과제를 추진한다. 민간 R&D는 기업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을 실시한다.

홍 부총리는 “정부는 지난 8월 5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대책 발표 이후 촘촘하게 관련 대책을 추진해오고 있다. 바로 시행한 조치들로 현재까지 기업들의 소부장 수급 상황 및 생산활동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날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는 필름·전자소재 개발 전문 중견기업인 율촌화학 기술연구소에서 열렸다. 회의에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최정표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강호갑 중견기업연합회 회장 등 민간위원들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