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아시아나 인수 시 에어부산 지분 해결 방안 내놓아야 할 수도

제주항공 항공기 / 사진=제주항공 제공
제주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 관련 본입찰에 인수 주체로 참여했다. / 사진=제주항공

아시아나항공 인수 관련 본 입찰이 7일 오후 2시에 끝났다. 이후 관련 당사자들은 공식 입장을 포함한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의아한 점은 금호그룹이 ‘애경그룹-스톤브릿지 컨소시엄’이 아닌 “제주항공-스톤브릿지 컨소시엄이 참여했다”고 발표한 점이다.

7일 금호산업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매각 관련 최종 입찰에 참여한 컨소시엄은 ‘HDC-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 제주항공-스톤브릿지 컨소시엄, KCGI-뱅커스트릿 컨소시엄”이라고 공식 확인했다.

애경그룹은 이날 본 입찰 마감 직후 “매각 주간사의 지침에 맞게 아시아나항공 인수 준비를 마치고 입찰을 완료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제주항공 측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매각 주간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에 ‘제주항공-스톤브릿지 컨소시엄’으로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시장의 반응은 두 가지다. 첫 번째는 ‘제출된 컨소시엄 제목 자체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추후 지배구조를 새롭게 검토할 수 있고, 자금 문제나 공정거래법상 증손회사 문제 등도 유예기간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반응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먼저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지주회사의 손자회사는 증손회사의 지분을 100% 보유하거나 매각해야 한다. 제주항공이 인수 주체가 돼 아시아나항공을 통으로 인수할 경우, ‘AK홀딩스-제주항공-아시아나항공-에어부산·에어서울’ 구조가 될 가능성이 높다. 에어서울의 경우 아시아나항공이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지만, 에어부산은 절반 가량을 부산시가 소유하고 있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특별히 문제로 보이지는 않지만, 제주항공의 전략을 살펴볼 필요는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제주항공은 지배구조와 관련해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다양한 방법을 놓고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항공의 자금력도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올해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제주항공의 유동자산은 5034억원이다. 이 중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0% 수준인 521억원이다. 제주항공 측은 일단 자금은 크게 문제될 게 없고 오히려 항공사 간 시너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 실사 결과 이번 인수의 핵심은 시너지라고 판단했다"며 "경영능력 및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제주항공만이 한국에서 유일한 회사라고 봤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