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오너 리스크 불식···당면 과제 多 ‘유통’ 비해 ‘화학’은 탄탄대로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대법원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에 집행유예 선고를 내렸다. 롯데그룹은 오너의 집행유예 선고로 잠재적 오너 부재 리스크를 덜어냈다. 이에 따라 지난해 10월 선보인 ‘뉴롯데 프로젝트’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그룹의 전 사업 분야에 걸쳐 5년간 50조원을 투자하고 7만명을 채용하겠다는 해당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 우선적으로 롯데케미칼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뉴롯데 프로젝트는 지난해 신 회장이 항소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난 직후 발표됐다. 뉴롯데 프로젝트에는 오는 2023년까지 사업 부문별 경쟁력 강화와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석유화학·건설 40% △유통 25% △식품 10% △관광·서비스 25% 등의 비중으로 나뉜 투자 계획안이 답겼다. 더불어 양질의 일자리 제공을 위해 폭넓은 채용계획도 밝혔다.

신 회장 석방부터 상고심에서 최종 집행유예 판결이 나기까지, 뉴롯데 발표 이후 현재까지 꼭 1년이 흘렀다. 그동안의 프로젝트는 순조롭지 않았다. 지난 5월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3조6000억원을 투입해 설립한 석유화학 공장 외에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프로젝트와 동시에 추진한 호텔롯데 상장을 통한 지주사 체제 전환도 더딘 속도를 보였다.

재계는 신 회장이 재판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그간 정체를 겪었던 뉴롯데 프로젝트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한다. 오너 부재 리스크에서 자유로워지면서 좀 더 장기적인 플랜가동에 물꼬가 트일 것이란 해석인데, 그중 롯데케미칼을 중심으로 석유화학사업을 영위하는 계열사들이 우선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관계자는 “롯데그룹을 일구는 양대 축은 석유화학과 유통이라고 볼 수 있다”며 “유통의 경우 식품 및 관광·서비스 등과의 연계성이 크다”고 소개했다. 이어 그는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금융계열사들을 매각해 자금을 확보했지만 유통 분야의 경우 각종 리스크가 산적해 있어 뉴롯데 프로젝트 진행에서는 화학사업 위주의 투자가 선제될 전망이다”고 언급했다.

유통사업에 잠복된 리스크로는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촉발된 불매운동을 들 수 있다. 특히 롯데가 한국에서의 사업을 맡고 있는 유니클로가 불매운동의 상징적인 브랜드로 떠오르면서 다른 사업에도 적지 않은 피해를 입히고 있다. 특히 ‘처음처럼’ 등으로 대표되는 주류사업의 경우 일본 자본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음에도 불매 대상이 됐다.

롯데를 둘러싼 ‘왜색’ 논란은 일종의 굴레로 작용해 왔다. 창업주인 신격호 명예회장이 일본에서의 성공을 토대로 사업을 한국으로 확장하면서 촉발됐고, 호텔롯데를 고리로 한 일본 자본의 한국 롯데그룹 지배력 또한 견고하기 때문이다. 신동빈 회장이 한·일 양국의 연결고리가 되는 호텔롯데를 상장하고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려는 배경에도 이 같은 논란을 희석하기 위해 일본 자본 지배력을 낮추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그밖에도 이번 재판 과정에서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의 면세특허 취소 여부가 논란으로 떠오른 등 갖가지 과제가 산적해 있는 상태다. 반면 롯데의 화학사업은 순조롭다. 미국 석유화학시설 외에도 국내외에서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인도네시아 석유화학단지 조성 및 고도화 석유화학설비 준설과 함께 베트남 현지 투자가 점차 속도를 내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GS에너지와의 합작 사업을 추진 중이다.

롯데케미칼은 이번 신 회장의 집행유예 판결과 관련해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반기는 분위기다. 롯데케미칼은 오는 2030년까지 매출 50조원을 달성해 글로벌 7위 화학사로 발돋움한다는 포부를 갖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