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현대건설·대림산업 3파전 유력

한남3구역 재개발 조합이 18일 오후 2시 입찰제안서 접수를 마감하고 12월 15일 시공사를 최종 선정한다. / 사진=연합뉴스,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한남3구역 재개발 조합이 18일 오후 2시 입찰제안서 접수를 마감하고 12월 15일 시공사를 최종 선정한다. / 사진=연합뉴스, 그래픽=조현경 디자이너

 

 

서울 용산구 한남동 한남3구역 사업권을 둘러싼 건설사들의 혈투가 시작됐다. 더위가 꺾인 지 한참 지났음에도 시공권 획득을 둘러싼 이곳의 열기는 갈수록 달아오르고 있다. 입찰 참여를 결정한 건설사들의 면면이 화려하다. 아크로 브랜드로 국내 처음으로 평당 1억 원 실거래 기록을 세운 아파트를 지은 대림산업과 프리미엄 브랜드 없이 자이 하나만으로 십여 년 전성기를 누리는 GS건설, 디에이치 아너힐즈를 완성하며 건설명가로 재평가 받는 현대건설 가운데 승리의 주역이 누가 될지 건설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입찰을 확정지은 세 곳 건설사는 최종 승자를 가를 조합원 표심 잡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대림산업 안정적 자금조달, GS건설 설계안 공개, 현대건설 백화점 제휴로 차별화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남3구역 재개발조합은 이날 입찰제안서 접수를 마감하고 12월 15일 총회에서 시공사를 최종 선정한다. 한남3구역 재개발은 노후 다세대와 다가구주택이 즐비한 용산구 한남동 686 일대를 197개동, 5816가구의 아파트 단지로 바꾸는 대규모 정비사업으로 공사비 1조9000억 원, 총 사업비 7조 원에 달한다. 강북권 정비사업장 가운데 최대 규모다.

한남3구역은 한강변 구릉지여서 가시성이 뛰어나다. 입찰에 참여한 건설사들로썬 자사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홍보하기 좋은 입지인데다가 추후 한남 2·4·5구역 수주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계산에 수주에 힘을 쏟는 것이다. 정부의 정비사업 규제 영향도 크다. 분양가 상한제 시행 입장까지 거듭 밝힌 상황에서 사업을 중단하는 사업장이 늘어날 게 우려됨에 따라 수주 보릿고개를 겪을 게 우려돼서다. 먹거리 확보 부진이 직접적인 수주잔고 감소로 이어질 경우 매출 외형에도 타격을 줄 가능성이 높다. 이에 한남3구역 입찰 참여를 확정한 건설사들은 기선제압에 돌입했다.

선제공격에 나선 건 대림산업이다. 대림산업은 일찌감치 단독입찰을 할 것이라는 확약서를 보내며 치고 나갔다. 지난달 중순에는 신한‧우리은행과 사업비 조달을 위한 금융협약도 체결하며 경쟁에 불을 지폈다.

GS건설은 지난 1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단지명 자이 더 헤리티지와 함께 설계안 공개로 차별화에 나섰다. 사업권을 따기도 전에 설계안을 먼저 공개하는 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GS건설은 배산임수 지역인 한남3구역의 특성을 활용해 아파트와 테라스하우스, 단독형 주택, 펜트하우스 등을 복합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GS건설은 한남3구역 입찰 참여를 위해 수개월 간 입찰에 공을 들였던 서초구 방배동 삼익아파트 재건축 입찰에서도 막판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선택과 집중을 위해서다.

하루 뒤인 18일 현대건설은 현대백화점그룹과 업무제휴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단지 내 근린생활 시설에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와 보유 브랜드의 상가를 입점시키고, 상가 콘텐츠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상호 공동 기획도 추진키로 했다. 또 입주민 대상 조식 서비스, 케이터링 등 주거 서비스와 백화점 문화 강좌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현대건설은 가장 먼저 입찰보증금 1500억 원을 완납하면서 수주 의지를 다지기도 했다.

◆단독입찰 결정되자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진흙탕 싸움 우려도

불과 2개월 전만 해도 건설사들이 한남3구역에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에 나설 것이라는 말이 돌았다. 사업규모가 큰 만큼 건설사도 리스크를 줄일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조합이 단독입찰로 입찰요건을 확정지으면서 건설사들의 입장과 분위기도 달라졌다.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 돼 한 치의 양보 없이 경쟁을 벌이는 것이다. 한남동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조합원 사이에서도 시공사에 대한 의견이 팽팽하게 갈려 승부를 예측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선호도가 비슷한 수준의 브랜드끼리의 치열한 수주전이 예상되자 건설사들은 더욱 과도한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사업장에는 건설사 간 상호 비방이 담긴 홍보물이 나도는 등 혼탁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수주 경쟁이 과열돼 건설사들이 홍보에만 급급해하는 모습도 보이는 만큼 사업 적용여부도 꼼꼼히 따질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시공사 선정을 마치고나면 공약 이행여부를 두고 조합과 시공사의 갑을관계가 뒤바뀌기 마련이다. 조합은 조삼모사에 넘어가지 말고 실현가능한 공약을 내건 건설사가 어딘지를 판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특히 분양가 상한제까지 적용될 수 있는 상황에서 단지를 고급화하려면 공사비 증액에 따른 추가분담금 증가 등 뒷감당은 결국 조합원 몫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공사비 증액이 없다는 확정공사비 약속 등도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