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직 정년 보장해주면서 자연적으로 인력 조절해 나가야 부작용 없어
“사측은 고용 안정성 보장 등 합의방안 고민하고 노조 측도 변화 적응 훈련 받아들여야”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 / 사진=연합뉴스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 / 사진=연합뉴스

현대자동차 외부 자문위원회가 미래 자동차 업계는 40%까지 인력감축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으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이를 놓고 저마다 각기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는데, 업계에선 인위적 감축은 불가능하지만 오랜 시간을 거쳐 자연적인 감축이 이뤄질 순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대차 외부 자문위는 지난 7일 향후 생산기술 변화로 제조업 인력 20~40% 축소는 불가피할 것이란 분석을 내놨다. 외부 자문위는 이문호 워크인 조직혁신연구소장, 조형제 울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여상태 청년희망재단 사무총장, 이항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백승렬 어고노믹스 대표 등 외부 인사들로 구성됐다.

사실 제조 인력이 감축될 것이란 분석은 특별한 이야기는 아니다. 자동차 업계 뿐 아니라, 사실상 모든 제조업계에서 제조인력 감축은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다만 ‘인력 감소’의 폭 등을 놓고 해석이 분분하다. 현대차 노조 측은 인력 감축 시나리오가 그 폭에 따라 20%, 30%, 40% 등 총 3가지가 있는데 가장 유력한 것은 2015년까지 20% 인력 감소 케이스라고 보고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20%든 40%든 중요한 건 생산 환경 변화 등으로 인력감축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다만 업계에선 현대차가 무리하게 생산인력을 줄이려고 하면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안 그래도 늘 노사관계로 진통을 겪는데 정리해고를 하려고 하면 노사갈등이 일어날 것이고 결국 회사 경영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란 이야기다.

허나 자연적인 인력 감소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장기적으로는 미래 산업 환경에 맞게 인력조정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 자동차 업계 종사자는 “안 그래도 생산직은 더 이상 충원을 잘 하지 않고 베이비붐 세대에서 정년퇴직을 하고 있는 상황인데, 이렇게 되면 단기간은 아니겠지만 점차 자연스럽게 인력조정이 되는 것 아니겠냐”라며 “사실 정년만 채우고 나가면 나중에 회사에서 더 이상 사람을 뽑든 안 뽑은 상관이 없을 것이기에 회사나 종사자들이나 크게 손해 볼 건 없을 수 있다”고 전했다.

생산기술 발달로 사람이 직접 할 일이 줄어들기 때문에 그만큼 생산직 숫자 감소에 따른 부담 자체도 함께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다.

전문가들 역시 현대차가 강제적으로 인력을 줄이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각종 유인책이나 자연감소, 노사합의 등을 통해 누구도 피해보지 않는 방향으로 미래 산업 구조에 맞게 인력 조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사측은 외국 사례를 참고해 구조조정을 하지 않고 10년 간 고용을 보장해주는 방식 등 노사합의를 이룰 방식을 고려하고, 노조 측도 새로운 생산 플랫폼 전환배치 교육 등을 받아들이며 변화에 발맞춘다면 일자리 안정화를 이루면서도 감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차 인력 구조 변화는 생산직 뿐 아니라, 연구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기술이 중요해지면서 자동차 업계 ‘정통’으로 불리던 기계공학과 출신보다 IT(정보기술)나 화학 전공 출신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