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시 43회서 배출 유력···손호준, 김국일, 유주헌 등 고대 3총사 하마평

그래픽=시사저널e
/ 그래픽=시사저널e

차기 보건복지부 인사과장에 행정고시 43회 출신의 유능한 과장들이 거론된다. 인사과장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차기 복지부 장관이 신중하게 인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일 복지부에 따르면 국정감사가 진행되는 와중에서도 일각에서는 차기 인사과장 후보군이 거론된다. 그동안 관행을 감안하면 올 연말 현 박능후 장관이 물러난 후 새로운 장관이 부임했을 경우나 또는 내년 정기인사를 마무리한 후 신임 인사과장이 임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벌써부터 차기 인사과장 후보가 거론되는 것은 그만큼 복지부 인사 관행에 문제가 있고 개혁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검찰도 중요한 개혁 대상이지만 복지부 인사를 기초부터 새롭게 개혁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익명을 요구한 복수의 복지부 소식통은 “대부분 이번 서기관 승진인사를 무난하다고 본다”면서 “그러한 측면도 있지만 현직 인사계장 등 전·현직 인사과 출신이 4명에 이르는 등 이른바 라인이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고 지적했다. 여기서 라인은 뒤를 봐주는 일종의 ‘백’으로 이해하면 된다. 

향후 연말까지 부이사관(3급) 승진심사를 제외하면 복지부에 큰 인사가 없을 전망이고, 후임자로 유력시되는 행시 43회에 유능한 인물이 다수 포진해 있는 것도 소식통들 하마평을 이끌어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2월 취임한 진영주 인사과장이 장기간 재임한 것도 이같은 하마평의 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우선 행시 42회인 진 과장 후임자는 다음 기수인 행시 43회에서 배출될 가능성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사례를 보면 정경실 부이사관(40회), 임호근 서기관(41회) 등이 각기 행시 기수를 대표해 인사과장을 역임했다. 

복지부의 행시 43회는 현재 해외에서 근무하는 황의수, 차전경, 이선영 서기관을 제외하면 국내에서 5명이 일하고 있다. 이중 최근 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 여성가족비서관실로 파견된 김문식 행정관을 제외하면 4명이 남는다. 4명 중 공교롭게 고려대를 졸업한 과장 3명이 우선적으로 거론된다.  

손호준 의료자원정책과장은 행시 43회의 선두주자로 올라섰다. 동기들 중 유일한 부이사관인 것이다. 복지부가 아닌 청와대에서 승진했지만, 승진할만한 능력과 실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그는 강릉고와 고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복지부 홍보기획담당관과 청와대 고용복지수석 여성가족비서관실 행정관, 생명윤리정책과장, 장관비서관, 한의약정책과장, 원격의료팀장, 국방대학교 파견, 질병관리본부 기획조정과장, 기획조정담당관, 청와대 사회수석 사회정책비서관실 행정관 등을 역임했다.

손 과장은 두 번의 청와대 파견근무를 거쳤고, 사업과장과 지원과장을 두루 경험한 것이 장점이다. 입이 무겁다는 점은 인사과장의 중요 발탁 사유가 될 수 있다. 강원도 출신이란 점도 긍정적이다. 

김국일 건강정책과장(1968년생)은 타 부처 출신이다. 고향이 경남 마산인 그는 손 과장과 고대 동문이지만 전공은 다르다. 손 과장이 영문과고, 김 과장은 국문과다. 그는 복지부 사회정책분석담당관과 의약품정책과장, 노연홍 청와대 고용복지수석 비서관, 규제개혁법무담당관, 장관비서관,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 등을 거쳤다.

손 과장과 동일하게 그도 청와대에 2번 파견된 경력이 있다. 서기관임에도 현재 주무과장을 맡고 있다는 점은 그의 실력을 증명한다. 동료 직원들을 편하게 해주는 리더쉽은 그의 중요 자산 중 하나다. 

유주헌 기획조정담당관은 지난해 9월부터 현재 보직에서 활동하고 있다. 사회서비스개발팀 근무에 이어 행정관리담당관, 국민행복연금추진단 팀장, 기초노령연금과장, 아동복지정책과장 등을 역임했다. 그도 고대를 졸업했다. 청와대에 파견돼 근무한 경험이 있다.

3명의 공통점은 고대 출신과 청와대 파견 경험이다. 손 과장과 김 과장은 장관비서관을 거쳤다. 진영 장관을 보좌했던 손 과장이 문형표 장관 비서관이었던 김 과장에게 장관비서관을 물려줬다. 손 과장과 유 담당관은 기획조정담당관을 역임했거나 현직이다. 결국 각각 장점에 있어 일부 차별성이 있는 유능한 행시 동기 3명 중 한명이 본인 의사와 관계 없이 요직인 인사과장에 발탁될 것이라는 예상이 적지 않다. 

복지부 관계자들은 “연말 개각에서 누가 복지부 장관으로 오느냐가 인사과장 발탁의 핵심 전제조건”이라며 “윗 사람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대로 추진할 수 있는 관료가 인사과장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