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국 대비 국내기업 기술력은 89%···국산화 소요기간까지 6개월 이상

표=중소기업중앙회
/ 표=중소기업중앙회

일본 수출 규제로 직격타를 맞은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과반수가 현재 국산화를 위한 기술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평균 기술개발 소요기간을 6개월 이상으로 내다봤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일본의 수출규제조치 등으로 인한 국내산업의 불확실성 증가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 소재·부품 및 생산설비 제조 중소기업 1002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기술 구현수준 및 기술개발 관련 애로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청와대에서 개최한 경제계 주요인사 간담회에서 중소기업중앙회가 제안한 ‘대‧중소기업간 구매조건부 기술개발 협업체계 구축’을 위한 것으로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수준 파악 및 우수 기술 발굴을 위해 실시됐다.

기술개발 진행 현황 관련 응답기업 50.7%가 현재 제품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답했다.

제품 개발을 진행 중인 업체 가운데 66.9%는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라 응답했고, 28.7%는 개발 완료 후 성능시험과 판로개척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품개발 완료 및 사업화(상용화)까지 소요 예상기간은 ‘6개월~1년 이내’가 3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1~3년 30.3% ▲3개월 이내 14.0% ▲3~6개월 이내 13.0% 순으로 응답했다.

기술개발 완료 이후 납품(판매)처 결정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79.6%가 납품 관련 협의가 완료(59.1%)되었거나 협의가 진행 중(20.5%)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응답기업 중 20.3%는 아직까지 판로가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인 제품의 경쟁국가(기업) 에 대한 질문에는 ▲미국(131개사) ▲일본(116개사) ▲독일(79개사) ▲국내기업(51개사) ▲중국(31개사) 순으로 나타났다. 경쟁국가(기업) 및 경쟁기업의 기술수준을 100으로 하였을 때 응답기업이 자체적으로 판단한 기술 구현 수준은 평균 89.0%로 답변했다.

세부적으로는 중국 대비 기술수준은 115.0%으로 국내 기업이 기술우위에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미국 ▲유럽 ▲일본 등과는 기술력을 비교했을 때 85.3~89.3%의 수준으로 다소 열위에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기업들은 납품처 발굴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신뢰성(성능 및 내구성) 확보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는 중소기업의 경우 시제품 제작 완료 후 제품의 품질안정성 확보 및 사업화 단계에서 실제 생산환경과 유사한 테스트베드 적용 등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대기업이 기존 협력회사 중심의 생산체계에 기술국산화를 위한 새로운 협력사를 선정하는 경우 품질안정화를 위한 리스크 최소화 조치 등이 수반되므로 정부의 세제지원, 동반성장지수 가점 부여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활성화 지원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중기중앙회는 설명했다.

한편 일본 수출규제 강화 관련 정책적 대응방향으로는 ▲상생협력 기술개발 확대 등을 통한 경쟁력강화’가 44.1%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국내외 제품수급정보·거래처 발굴 및 매칭 지원’(25.1%) ▲냉정한 외교적 해법 요청(13.4%)이 뒤를 이었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일본 수출규제 이후 피해가 예상되는 부품·소재·장비 중소기업들의 기술개발 및 판로확대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조사를 실시했다며”며 “결과를 토대로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통해 우수한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의 판로를 확대하고 수요기업들도 제품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상생협력의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도록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