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자산화 개념은 ‘기업의 노하우’”···고객 AI 서비스 유입 유인은 ‘문제 해결’

19일 시사저널e가 주최한 ‘제5회 인공지능 국제포럼: 인공지능, 인간과 함께 한계를 넘어서’ 종합토론은 이현규 KAIST 스마트에너지 인공지능연구센터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토론은 앞선 강연에 대한 청중들의 질문과 이 교수의 추가질문에 대해 강연자들이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19일 시사저널e가 주최한 ‘제5회 인공지능 국제포럼: 인공지능, 인간과 함께 한계를 넘어서’ 종합토론에서 전문가들은 AI기술의 자산화와 성공의 핵심이 개방‧고객니즈(needs) 파악에 있다고 밝혔다. /사진=시사저널e

인공지능(AI) 전문가들은 AI기술의 자산화와 성공의 핵심이 개방‧고객니즈(needs) 파악에 있다고 입을 모았다.

19일 시사저널e가 주최한 ‘제5회 인공지능 국제포럼: 인공지능, 인간과 함께 한계를 넘어서’ 종합토론은 이현규 KAIST 스마트에너지 인공지능연구센터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토론은 앞선 강연에 대한 청중들의 질문과 이 교수의 추가질문에 대해 강연자들이 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AI 자산화와 관련해 최대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계학과 교수는 “AI 자산화라는 개념은 기업 내의 자산화 측면에서 설명된다”며 “결국 (AI 기술) 소유권이라는 개념은 ‘기업의 노하우’로 말할 수 있다”고 밝혔다. AI 자산화는 알고리즘, 프론티어 모델 등 자산의 재활용성을 강조하는 개념이고, 이를 위해서는 ‘개방성’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의 AI 기술 수준은 그리 높지 않은 수준”이라며 “이 분야에서 우리가 노릴 수 있는 관련 지적재산권, 특허권 등은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교수도 이와 관련해 “AI 시장에서의 ‘특허싸움’은 AI 딥러닝 시에도 공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기존처럼 소스 등으로 진행될 수 없다”고 부연했다.

금융권에서 AI 기술의 성패는 고객니즈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성환 데일리인텔리전스 인공지능본부 이사는 금융권의 챗봇 도입 시 주요하게 고려할 부분을 묻는 질문에 “금융권의 챗봇에 대해 고객은 ‘친구’로 생각한다기보다 업무를 빨리 끝내기 위한 서비스로 인식한다”며 “질문에 대한 해결을 답변으로 듣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고객이 원하는 바를 바로 해결할 수 있게 텍스트 뱅킹 혹은 텍스트로 조회되는 서비스 연계 등이 고객 경험 측면에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김 이사는 AI 서비스 기획에 있어 비전문가들인 고객사 담당자와 데이터 플로어에 대한 지속적인 조율을 통해 이해를 돕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향후 문제 발생 시 해결에도 이 과정은 큰 도움이 된다는 게 김 이사의 설명이다.

한편 토론자들은 일반 소비자들이 ‘스마트팩토리’에 대해 오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상민 SAP코리아 디지털혁신전략 본부장은 “스마트팩토리는 상품 주문, 딜리버리, 에프터서비스 등 기업 전체 프로세스가 맞춰져야 하는 만큼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면서 “대기업의 경우 특정 아주 작은 포트폴리오 등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도 “스마트팩토리는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주가 되는 사업”이라며 “프로세스 전체를 변경해야 하는 만큼 대기업의 경우 생산 공정에 AI 등을 포함한 스마트 기술을 접목시키는 지점을 고민하고 있는 정도”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