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업계, 전체 규모 6조원에 달해
1%대 저금리에 대체 투자처로 각광받아
P2P금융사 “법제화, 투자자 유입에 긍정적 영향 미칠 것”

부동산 P2P 금융사 누적 대출액./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부동산 P2P 금융사 누적 대출액./그래픽=이다인 디자이너

기준금리 인하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예·적금의 낮은 이율에 아쉬워하던 투자자들 사이에서 P2P 금융이 새로운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달에는 P2P 금융거래 법제화가 첫 단추를 꿰면서 향후 P2P 금융 성장세는 더 탄력받을 전망이다.

17일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협회 회원사인 44개 부동산 P2P 금융사의 누적 대출액은 4조5054억원을 기록했다. 1년 만에 2배가량 증가한 규모다. 게다가 신용대출을 전문으로 다루는 마켓플레이스금융협회 소속 회원사 5곳의 6월 말 기준 누적대출잔액이 8545억원인 것을 고려하면 P2P 업계 전체 규모는 5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추산된다.

P2P 시장은 매해 성장하는 추세다. 실제로 한국P2P협회가 처음으로 발족한 2016년 6월 당시 업체 회원사는 현재의 절반 수준인 22개였으며, 업체 전체 대출액 규모 역시 1525억원에 불과했다. 이전까지 법제화가 불투명해 안정성이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P2P 금융시장 규모는 3년 만에 40배가량 성장한 셈이다.

이처럼 P2P 금융이 급속도로 성장한 배경에는 정부의 가계 대출 규제로 인한 대체재로 P2P 대출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가계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은행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대출자들은 비교적 대출 과정이 까다롭지 않은 P2P 대출로 눈을 돌렸다. 실제로 7월 기준 P2P 시장에서 개인의 부동산 담보대출금액은 2499억원으로 지난해(1130억원)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와 함께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금융소비자들이 P2P 시장을 새로운 투자처로 점찍으면서 성장세는 더욱 가속되고 있다. 은행 예·적금은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면서 2%대 예금금리도 찾기 어려워졌다. 주식시장은 최근 미중 무역전쟁 및 한일 무역갈등 등으로 국내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투자자들의 돈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P2P 시장에 쏠리는 것이다.

김항주 투게더펀딩 대표는 “기준금리가 인하되면서 예금이나 적금으로 얻는 기대수익이 낮다 보니 P2P 대출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예전에는 높은 수익만을 추구하는 ‘묻지마 투자’가 많았다면 요즘에는 수익성과 안정성을 모두 따져 10% 미만의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지난 8월에는 P2P 대출 관련 체계를 규정하는 ‘온라인투자연계금융법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 국회 정무위원회를 통과하면서 'P2P 금융법'의 법제화가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이르면 10월부터는 P2P 업계에도 관련법이 적용돼 투자자 보호가 강화될 전망이다. 그동안에는 P2P 금융 업체에 대한 가이드라인만 있을 뿐 법적 구속력이 없어 사기나 횡령, 부실 문제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었다. 법제화로 P2P 시장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되던 불확실성 문제가 해결되면서 투자자 유입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 P2P금융사 관계자는 “법제화로 투자자 보호 방안이 마련되면 업계 투명성이 제고될 것”이라며 “이는 곧 더 많은 투자자 유입으로 이어져 P2P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