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 무장투쟁하다 순국한 석순, 석준 형제···둘 모두 건국훈장 받아

2019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을 맞았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우리 민족은 끊임없이 항일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 1일 전국 방방곡곡에서 남녀노소 모두 일어나 만세운동을 했다. 다음 달인 4월 11일 독립운동가들은 중국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다. 이는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다. 시사저널e는 임시정부 수립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국가보훈처 자료를 바탕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사람들의 삶을 기사화한다. 특히 대중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독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조명한다. [편집자 주]

독립운동가 이미지=조현경, 이다인 디자이너
/ 독립운동가 이미지=조현경, 이다인 디자이너

최석순, 최석준 형제는 국내에서 3.1운동을 주도하고 독립운동에 목숨을 바쳤다. 동생 최석준은 1919년 3·1운동 때 고향인 삭주군의 3·1운동에서 활약했다. 형 최석순도 함께 고향의 3·1운동에 앞장섰다.

형제는 3·1운동 직후 집안현으로 망명해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최석준은 남만주의 독립운동 단체인 광복군총영에 가입해 활동했다. 국내에 진입해 일제의 앞잡이인 밀정을 처단하고 일본 군경 주재소를 습격했다. 그러나 일경이 쏜 총을 맞고 사망했다.

최석순은 통의부 산하 독립군인 ‘의용군’ 제2중대장을 맡았다. 최석순은 조선총독 사이토 처단 작전에 개입한 것으로 보인다. 최석순도 일제와 전투 중 사망했다. 두 형제는 모두 건국훈장을 받았다.

◇석순, 석준 형제 고향에서 3·1운동 주도하다

동생 최석준(崔錫俊)은 1891년 평안북도 삭주에서 태어났다. 형 최석순(崔碩淳)은 몇 년 앞서 삭주에서 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석준은 1919년 3·1운동 당시 고향인 삭주군의 3·1운동에서 크게 활약했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형인 최석순도 고향의 3·1운동에 앞장섰다. 이후 형제는 일제 당국의 추적을 받자 서간도 지방으로 망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평북 삭주의 3·1운동은 기독교도와 천도교도, 청년·학생들이 주도해 1919년 5월까지 끈질기게 진행됐다. 삭주 3·1운동은 1919년 3월 5일 시작해 5월까지 17회, 연인원 3만5000여명이 참가했다.

같은 해 3월 5일 3000여명의 3·1운동 시위 군중들이 헌병대 청사 앞에서 독립만세를 외쳤다. 일본 헌병대의 발포로 시위군중 4명이 현장에서 사망했다. 그러나 나흘 뒤 9일에는 읍내에서 기독교인 50여 명이 다시 만세시위운동을 했다. 이후에도 만세시위운동이 이어졌다.

3월 31일부터 삭주군 외남면 대관리에서 수천명의 군중이 만세 시위운동을 했다. 4월 6일에도 대관리에서 7000여명의 군중들이 시위를 했다. 이들은 200여명의 결사대를 만들어 일본군에 대항했다. 일본군이 시위 군중에 무차별 사격을 해 현장에서 6명이 죽었다.

일본군은 보복 행위로 읍내의 교회를 불태우고 시위 주동자 색출 작업을 했다. 최석순, 석준 형제는 만주로 이주해 독립운동을 했다.

◇동생 최석준 독립 무장투쟁하다 일제 총 맞아 사망

보훈처에 따르면 석순, 석준 형제는 남만주 집안현으로 망명해 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최석준은 1920년 5월 14일 임시정부의 연통제 조직이 본격화하자 삭주군 경감(警監)에 임명돼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1920년 남만주의 독립운동 단체인 광복군총영(光復軍總營)에 가입해 독립 무장투쟁을 했다. 최석준은 동지들과 국내에 진입해 일제의 앞잡이인 밀정을 처단하고 일본 군경 주재소를 습격했다.

최석준은 1922년 신의주 건너편 국경도시 안동(현재의 단동)에 있는 배를 타고 상해 임시정부에 다녀오다가 안동에서 체포돼 의주로 압송됐다. 그해 11월 14일 의주경찰서에서 동지 이호영(李浩英)이 심한 고문을 당하는 것을 보고 이에 항거해 일제 경찰과 난투극을 벌였다. 최석준은 이 과정에서 이호영과 함께 일제 경찰이 쏜 총을 맞고 사망했다.

최석순은 동생의 죽음을 전해 듣고 항일 투쟁을 다짐했다.

최석순은 남만주 지역의 독립운동 조직인 ‘대한독립단’에서 집서(輯西)지단장을 맡으며 집안현 서부지역의 민족운동을 총괄했다.

최석순은 1922년 8월 남만주에서 ‘대한통의부’가 조직되자 이 조직에 곧 가입했다. 통의부는 전덕원 등 일부 의병 및 복벽계열 인사들이 참가한 ‘대한통군부(大韓統軍府)’를 기초로 발전한 단체다.

최석순은 이후 주민자치와 민주공화제 이념을 표방하며 결성된 참의부에서도 제2중대장과 참의장 등의 중요 직책을 맡아 독립운동을 했다.

국가보훈처는 “최석순 선생은 조국해방과 민족독립을 위해서는 철저한 무장투쟁론에 입각한 무력항쟁을 전개하되, 궁극적 목적은 위정척사나 복벽주의 이념이 아닌 다수의 민중이 정권(정치)의 주인이 되는 민주공화체제를 지향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형 최석순, 민족 단결에 힘쓰다

1922년 1월 한족회·독립단·광한단·대한교민단·청년단연합회·광복군총영 등 대표들이 환인현에 모여 ‘대한통군부(大韓統軍府)’를 결성했다. 이 조직은 같은 해 8월 ‘대한통의부’로 이름을 바꿨다. 선생은 통의부 산하 독립군인 ‘의용군’ 제2중대장이 됐다.

최석순의 부대는 1923년 국내로 진입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던 중 일본군의 포위 공격을 받았다. 최석순과 병사들은 적을 이겨냈다.

이 전투에서 최석순 부대의 상등병 백낙원(白洛元)과 김관빈(金官賓) 두 사람이 전사했다. 보훈처에 따르면 백낙원은 평북 의주 출신으로 전사 당시 20대 초반의 청년이었다. 1921년 독립군에 투신한 이후 국내로 진출해 군자금을 모집하는 데 크게 활약했다. 김관빈은 평북 초산 출신으로 1923년 참의부 의용군 제2중대에 참여해 수차례 국내 작전에 참가했다.

1924년 5월 통의부 의용군 제1·2·3중대와 유격대·독립소대 등을 중심으로 임시정부의 봉대를 표방한 ‘대한민국임시정부 육군주만참의부(陸軍駐滿參議部, 약칭 참의부)’가 만들어졌다.

최석순은 참의부에 적극 참가해 통의부의 제2중대장 직책을 그대로 맡았다. 최석순은 1924년 5월 참의부 제2중대장으로서 ‘남만(南滿) 군인대표’ 명의로 선언서를 발표했다. 독립운동 단체나 개인의 대립을 지양하고 임시정부 기치 아래 대동단결하자는 내용의 선언이었다. 아래는 선언서 내용중 일부다.

“우리는 국토광복과 민족자유를 위해 생명과 재산을 공공단체에 이미 공헌(供獻)한 것이다. (중략) 임시정부 군무부 호령 하에서 원수의 적을 격퇴하기로 맹약(盟約)하였다. 우리의 임시정부는 전민족의 대동통일적인 최고기관이다. 이러므로 대한(大韓)의 군민(軍民)된 우리는 마땅히 전민족의 최고기관인 임시정부를 공고케 하는 것이 의무와 본분이다. 남북 만주에 유리방황하는 형제자매여, 밤낮 피땀으로 모은 금전을 바치는 것도 국가독립을 위함이며, 내외지로 모험 맹진하는 군인동지여, 막중한 생명을 희생함도 민족자유를 위함이라. 어찌 개인 야욕 아래 생명을 희생하며 어찌 국부(局部) 사회에 재산을 허비할리요. 우리 군인은 반드시 전민족의 주재기관인 임시정부 기치 하에서 대업을 완성하기로 결심하고, 절대로 개인의 야욕 하에서나 또는 국부 사회의 편견 하에서 활동치 아니하기를 것을 선언하노라”

이 선언서의 내용을 볼 때 선생을 비롯한 참의부 의용군의 주요 간부들은 전덕원 등 일부 파벌분자들을 비판하고, 임시정부 기치 아래 대동단결 할 것을 강력히 호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참의부의 방침이기도 했다.

◇동생 이어 형 최석순, 일제 기습에 순국하다

1924년 5월 19일 최석순 휘하의 참의부 제2중대 1소대 소속의 장창헌(張昌憲) 이하 대원 8명이 압록강 일대 국경지대를 순시하던 조선총독 사이토(齋藤實) 일행이 탄 배에 총격을 가했다.

보훈처에 따르면 장창헌 등은 참의부 의용군 소속의 독립군이었다는 점에서 최석순과의 관련을 유추할 수 있다. 사이토가 탄 배는 기습 공격에 전속력으로 도망갔다.

이 사건은 국경 일대의 남만주 동포사회와 국내의 한국인들에게 힘을 줬다.

반면 이 사건으로 조선총독 사이토는 일본 제국의회에서 질책을 당했다.

비슷하 시기 최석순 휘하의 제1소대 2분대장 김창화(金昌化)와 부대원 7명은 평북 후창군 우항령에서 일본 경찰과 접전 끝에 적 1명을 죽이고 다른 1명에게 중상을 입혔다.

참의부 의용군 독립군 부대는 여러 차례 국내로 진입해 일제의 밀정을 처단하고 일본 군경과 전투를 했다. 일제 경찰 주재소를 습격했다.

1924년 7월 최석순은 동지 조응건(趙應建)·김만성(金萬成)·박영진(朴永鎭)·김봉서(金鳳瑞) 등과 함께 압록강을 건너 평북 초산으로 갔다. 밀정으로 악명 높던 이갑정(李甲廷)의 집을 불태웠다.

최석순 선생은 1925년 2월 남만주 집안현 고마령(古馬嶺)으로 갔다. 최석순은 국내 진입작전과 군자금 모집, 일제 기관의 파괴 등 작전계획을 협의하기 위해 5개 중대 군사회의를 열었다.

조선총독부가 이러한 정보를 밀정을 통해 입수해 탄압 작전을 했다. 최석순과 소대장 최항신·전창희(田昌禧) 등은 적의 포위망을 돌파하기 위해 격렬하게 대항했다.

그러나 한국인 순사부장 고피득은 같은 동포인 최석순과 최항신을 향해 총탄을 발사했다. 최석순 선생과 최항신은 사망했다. 동생 최석준이 일제에 맞서다 1922년 11월 14일 순국한 데 이어 형인 최석순도 1925년 2월 25일 일제와 전투 중 순국했다. 

고마령참변 직후 참의부 독립군은 최석순 등 독립군들의 순국에 대한 대대적 보복 작전을 했다.

정부는 최석준에게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최석순에게는 199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