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통계청 ‘2019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 발표
1분위 근로소득 15.3% 감소···지난해 1분기 이후 올해 2분기까지 내림세

/ 자료=통계청, 표=조현경 디자이너
1분위와 5분위 가구당 월평균 소득 증감률 추이. / 자료=통계청, 표=조현경 디자이너

2분기 소득격차가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 저소득층의 소득은 제자리에 머물고 다른 계층에선 모두 소득이 올라 소득 격차가 커진 탓이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소득부문) 결과’에 따르면, 2분기 소득 1분위(하위 20%)의 월평균 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0.0%를 유지하며 정체했다. 반면 소득 5분위(상위 20%) 월평균 소득은 3.2% 늘었다.

1분위 가구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132만5500원으로, 1년 전과 유사(0.0%)했다. 전년 동기 대비 1분위 소득 증감률은 지난 2017년 4분기 10.2% 증가를 마지막으로 작년 1분기(-8.0%)부터 감소로 전환한 뒤 2분기(-7.6%), 3분기(-7.0%), 4분기(-17.7%), 올해 1분기(-2.5%) 등 5분기 연속 줄어들다가 2분기에 미세하게 반등했다. 이는 1년 전 대비 15.8% 증가한 사업소득(22만5000원)과 9.7% 늘어난 이전소득(66만2000원)과 관련 있다.

다만 근로소득은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2분기 1분위 근로소득은 43만9000원으로 1년 전보다 15.3%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13.3%) 감소로 전환한 이후 2분기(-15.9%), 3분기(-22.6%), 4분기(-36.8%), 올해 1분기(-14.5%)에 이어 6분기째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합한 고용소득도 전년 대비 6.8% 감소했다. 정부 보조로 지급되는 이전소득은 9.7% 증가했다.

박상영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자영업 업황이 부진하면서 2~4분위에 분포해 있던 자영업자들이 1분위로 내려앉는 변화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실제 올해 2분기 근로자가구(가구주의 직업이 임금근로자인 가구)의 비중은 29.8%로 1년 전(32.6%)보다 낮아졌다.

박 과장은 “고용시장에서의 양적 개선이 질적 개선으로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저소득층의 경우 소득 창출 능력의 개선 속도가 더디기 때문에 정부의 소득 보전 노력이 전체 소득의 개선으로 눈에 띄게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5분위 가구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942만6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지난 1분기 2015년 4분기(-1.1%)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사업체의 임금 상승률이 4% 수준으로 이어지고 있는 점이 반영됐다는 게 통계청 측 입장이다.

5분위 가구 근로소득도 4.2% 늘었고, 이전소득도 23.4%로 크게 늘었다. 국민연금 등 공적 연금과 아동수당·실업급여 등 각종 사회수혜금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저소득층의 소득에 비해 고소득층의 소득이 몇배인지 나타내는 ‘균등화 처분가등소득 5분위 배율’은 5.3배로, 지난해(5.23배)보다 더 커졌다. 특히 시장에서 벌어들이는 소득(시장소득) 기준으로는 9.07배였는데, 정부의 복지 정책 효과로 3.77배 줄인 것이다. 통계청은 2분기 기준 2003년 이후 정책 효과가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