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내정된 조성욱 공정위원장, 증선위 활동하며 원칙 강조 행보 보인 것으로 유명
기업들, 우려하면서도 윗선 개입 기획사정 줄어들 가능성엔 기대 내비치기도

왼쪽부터 김현준 국세청장, 운석열 검찰총장. 조성욱 공정위원장 후보자. / 사진=연합뉴스, 편집=디자이너 이다인
왼쪽부터 김현준 국세청장, 운석열 검찰총장. 조성욱 공정위원장 후보자. / 사진=연합뉴스, 편집=디자이너 이다인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의 뒤를 이어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로 조성욱 교수가 내정되면서 재계 사정을 주도하는 기관들의 수장 인사가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김현준 국세청장, 윤석열 검찰총장에 이어 조 교수까지 모두 ‘원칙주의자’를 앉힌 것이 공통점인데 기업들 입장에선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에 청와대가 공정거래위원장으로 내정한 조성욱 후보자는 대표적인 ‘원칙주의자’로 통한다. 2013년부터 지난 4월까지 6년간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에서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했는데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사건과 관련해 강경한 목소리를 낸 것으로 유명하다. 한 재계 인사는 “한화 사외이사를 지냈던 경력 등을 들어 조성욱 후보자가 친기업적이라고 섣불리 판단하면 곤란하다”며 “증선위 위원일 때도 성역 없이 활동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후보자는 과거 논문에서 재벌을 ‘성공한 맏아들’로 표현하며 더욱 엄격하게 법집행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공정위원장으로 최종 낙점이 되면 향후 공정위 활동에도 이 같은 색채가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재인 정권의 이번 사정기관 수장 인사는 조 후보자의 경우처럼 모두 원칙주의자들을 임명한 것이 특징이다. 검찰 내 대표적인 원칙주의자 윤석열 검찰총장은 물론, 김현준 국세청장 역시 원칙을 중요시하는 깐깐한 스타일의 완벽주의자로 알려졌다. 정권의 이 같은 인사에 대해 재벌 개혁 및 공정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기업들은 일단 긴장하는 모습이다. 한 그룹사 인사는 “만일 원칙대로만 모두 밀어붙이면 기업들로선 뭔가 사정이 있을 수 있는데 그런 것들을 설명할 기회 자체를 갖기 힘들어진다”고 토로했다. 깐깐한 인사들로 사정기관 수장들이 채워지면 기업들에 대한 압박이 더욱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다.

다만 정치적 인물보다는 차라리 원칙주의자가 더 나을 수 있다는 시각도 일부 있다. 법만 잘 지키면 표적이 되지 않을 수 있고, 윗선에서 정치적 이유로 지시해 내려오는 기획사정이 줄어들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다. 또 이번에 임명되거나 내정된 수장들이 법과 원칙 면에서는 깐깐한 스타일이긴 하지만 무조건 ‘반(反)기업적’인 인물들은 아니라는 점에도 안심하는 눈치다.

예를 들어 조성욱 후보자의 경우 한 논문을 통해 “정치권이 개입돼 만든 ‘붐’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창의적 기업이 생성되고, 이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업 생태계를 마련해야 하고 이를 위해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기업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기도 했다.

결국 원칙주의자 수장 체제의 성패는 얼마나 윗선에 흔들리지 않고 그 ‘원칙’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원칙주의자 수장을 맞이한 한 사정기관 인사는 “원칙주의 사정의 핵심은 여러 외부 상황을 이겨내고 얼마나 일관되게 그 원칙을 고수하면서 일을 할 수 있는지 여부”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